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1월 수상자로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박사를 선정했다.
|
우리나라는 광역상수도와 지방상수도 보급률이 약 98%에 달한다. 하지만 상수도가 아닌 계곡수 등에 의존하는 수도 시설이 전국 622개소에 이른다. 이들 지역은 극한 가뭄 시 식수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통적인 샌드댐은 아프리카 등 건조지역에서 홍수로 불어난 물을 막아 토사를 가라 앉힌뒤 그 안의 물을 얻는 원초적인 기술이다. 계곡처럼 급류가 흐르는 지형에는 설치하기 어렵다.
반면 바이패스형 샌드댐은 계곡 흐름을 막지 않고 차수벽으로 둘러싼 공간에 모래를 채운 후 주변 계곡수 및 지하수를 유도해 수량을 확보한다. 모래는 안정적으로 물을 저장하고, 물을 정수하는 역할도 한다.
그 결과 하루 평균 281㎥, 최대 462㎥ 만큼의 물을 공급해 20년 빈도 가뭄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결과는 지난 2022년 6월 수자원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인터내셔널 소일 앤드 워터 컨서베이션 리서치’와 같은 해 9월 물과학 전문 국제학술지 워터(Water)에 게재됐다.
정일문 박사는 “샌드댐은 모래 속에 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가뭄에도 증발 손실이 없고 겨울철에도 얼지 않아 산간지역 물부족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며 “춘천시 물로리 샌드댐이 성공적으로 운영된 만큼 앞으로 물공급 소외지역의 물 복지 향상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