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의 증가 규모가 4개월 만에 10만 명 밑으로 떨어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84만 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8만 3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7월 17만 2000명, 8월 12만 3000명, 9월 14만 4000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반면 실업자는 4개월 만에 감소에서 증가로 돌아섰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67만 8000명으로 전년 대비 5만 1000명 늘었고, 이에 따라 실업률도 2.1%에서 2.3%로 0.2%포인트 상승했다. 고용 둔화세가 확연하다.
업종별로 보면 고용 둔화의 원인이 짐작된다. 취업자가 제조업에서 3만 3000명 감소했지만, 이보다 건설업에서 9만 3000명, 도소매업에서 14만 8000명 감소한 것이 두드러졌다. 건설업과 도소매업은 대표적인 내수 업종이다. 내수 침체 장기화가 고용 둔화로 이어진 셈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이후 1년이 넘도록 부진한 내수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이로 인해 비금융 내수기업들의 상반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감소했다. 내수기업의 매출 감소는 코로나19 위기가 한창이던 2020년 이후 처음이다.
고용 둔화세는 ‘쉬었음’ 인구가 증가한 데서도 확인된다. ‘그냥 쉬었다’는 인구가 지난달 244만 5000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운 가운데 특히 15~29세 청년층에서 그냥 쉬었다는 인구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만 2000명 늘어 41만 8000명에 달한 점이 우려된다. 이렇게 많은 청년이 그냥 쉬는 것은 당사자들의 개인적 경력과 삶에 주름살이 지게 할 뿐 아니라 경제 전체의 활력을 저해할 수 있다. 중소기업 구인난이 여전한데도 쉬는 청년이 늘어나는 이유로 일자리 미스매치를 지적하는 의견이 많지만 내수 침체로 인한 일자리 부족이 큰 원인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내수 침체를 방치하고는 고용을 되살리기 어렵다. 최근 미국 대선을 계기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거세지면서 수출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내수마저 계속 부진하다면 어디에서 일자리를 늘릴 수 있나. 더 늦기 전에 정부가 내수 회복을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