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조직위원회는 지난해 3월 제4차 재정계획을 발표하면서 약 3000억원의 재원 부족(수입 2조5000억원, 지출 2조8000억원)이 발생할 것으로 밝혔다.
그리고 1년이 지났다. 뜨거운 열기 속에 치러진 올림픽이 지난 25일 막을 내렸다. 아직 결산 작업이 진행 중이지만 막대한 적자를 걱정했던 조직위원회는 이제 흑자 올림픽을 기대하고 있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2016년 5월 취임 당시 “적자 올림픽은 실패 올림픽이다. 대회 성공의 영광은 순간이지만 장부상 부채는 계속 남아 국민의 부담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직위는 균형재정 달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다각적인 수입 확보 노력과 더불어 재정지출 절감 노력을 통해 적자규모를 대폭 개선하려 노력했다.
그 결과 지난해 12월 발표된 대회 전 마지막 재정계획에선 2017년 결산 등을 반영한 조정을 거쳐 2조7000억원 수준으로 수입과 지출의 균형을 맞추는 데 성공했다.
흑자 올림픽을 가능하게 만든 가장 큰 힘은 기업과 공공기관의 후원이다. 조직위원회는 “애초 후원 기여금 목표인 9400억원 대비 118.3%에 해당하는 1조1123억원의 후원 기여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참여가 큰 힘이 됐다. 정부의 공공기관 경영평가 매뉴얼 개정, 국회의 공공기관 후원 참여 촉구 결의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국가 보조금 지원이 가능한 사업 등에 대해 예산 확보 등을 추진했다. 그 결과 패럴림픽 운영비, 동계올림픽 국민체험 지원 등 국가지원 사업을 821억원 추가 확보했다.
아름다운 기부도 이어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대기업, 금융회사, 공공기관 등은 물론 학생, 재외국민, 외국인, 중소기업 등 각계각층의 기부가 이어졌다. 중소기업은 자원봉사자 등 대회운영인력의 추위를 녹이기 위해 난로, 발열담요 등을 현물로 기부했다.
IOC와의 끈질긴 협상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서도 수입은 늘리고 지출은 줄였다.
지난해 12월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된 IOC 집행위원회를 통해 IOC 지원금이 4억 달러에서 4억700만 달러로 700만 달러나 올랐다. TOP스폰서 후원금도 2억 달러에서 2억2300만 달러로 확대됐다.
그동안 관례적으로 개최도시 조직위원회가 부담했던 컨설턴트 비용과 IOC 행사 비용 등도 IOC가 직접 부담하기로 해 106억원 수준의 대회 재정을 절감했다.
예를 들어 장비·물자의 직접 구매를 지양하고, 임차 또는 바이백을 통한 조달을 추진하는가 하면 정부 등 관계기관 협의로 물자·장비 등의 무상 및 공동사용을 이끌어냈다.
아울러 대회 개최 인근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가 하면 위탁용역 및 단기채용을 최소화하고 군경인력의 지원을 받았다.
그 밖에도 예산 집행 단계에서는 1억원 이상 지출사업은 재정심사위원회에서 사업의 필요성 및 적정성 등을 심사한 뒤 집행하도록 내부통제를 강화했다.
아웃소싱을 직접 수행해 200억원의 예산을 절감하기도 했다.
이벤트 서비스(EVS)는 서비스 구역점검, 관중안내, 검표 및 앰부시 마케팅 통제, 취약자 접근성 지원, 경기 방해행위 통제, 응급상황 대처, 유실물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업무이다.
EVS 업무는 1996년 애틀랜타 대회부터 개념이 등장했다. 2006년 토리노 대회부터 올림픽 주요업무로 자리잡았다. 밴쿠버, 소치 대회는 캐나다 CI사가 아웃소싱을 맡아 운영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도 CI사의 관중 흐름 아웃소싱 업무 제안이 있었다. 하지만 조직위원회는 EVS 업무를 직접 수행하기로 결정, 200억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조직위 관계자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 패럴림픽과 몇 가지 변수들이 아직 남아 있지만 적자올림픽의 우려를 해소하고 균형재정 달성을 넘어 흑자 올림픽을 실현할 수 있을 전망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