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스타부터 자불라니까지' 월드컵 공인구의 역사

  • 등록 2013-12-04 오전 11:05:34

    수정 2013-12-04 오후 2:40:58

왼쪽부터 1970년 멕시코월드컵 ‘텔스타’. 1974년 서독월드컵 ‘텔스타’, 1978년 아르헨티나월드컵 ‘탱고’, 1982년 스페인월드컵 ‘탱고 에스파냐’
왼쪽부터 1986년 멕시코월드컵 ‘아즈테카’ 1990년 이탈리아월드컵 ‘에투르스코 유니코’, 1994년 미국 월드컵 ‘퀘스트라’, 1998년 프랑스월드컵 ‘트리콜로’.
왼쪽부터 2002년 한일월드컵 ‘피버노바’, 2006년 독일월드컵 ‘팀가이스트’. 2010년 남아공월드컵 ‘자불라니’
[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월드컵의 역사는 축구공의 역사이기도 하다. 월드컵의 규모나 영향력이 커질수록 월드컵 공인구도 비례해 발전했다.

처음부터 월드컵 공인구가 존재했던 것은 아니었다. 1930년 초대월드컵 결승전에서 만난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는 공을 둘러싸고 팽팽하게 대립했다. 서로 자국의 공을 사용하겠다고 주장했기 때문.

결국 국제축구연맹(FIFA)의 중재로 전반에는 아르헨티나의 공을, 후반에는 우루과이의 공을 사용하는 촌극이 벌어졌다. 이후에도 월드컵에서 공에 대한 논란은 40년 가까이 계속됐다.

월드컵 공인구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70년 멕시코월드컵에서부터다. 스포츠브랜드 아디다스가 ‘텔스타(Telstar)’라는 공인구를 처음 제작했다. 그전까지 갈색볼이 주류를 이뤘던 축구공은 이 공을 계기로 검은색과 흰색을 섞은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TV 화면에 더 잘 나오도록 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이후 월드컵 공인구는 기능과 소재, 디자인 면에서 급격한 발전을 이어왔다. 1978년 아르헨티나월드컵에서 사용된 ‘탱고’는 탄력과 회전력이 월등히 좋았고 1982년 스페인월드컵 때의 ‘탱고 에스파냐’는 최초로 방수 가죽을 사용해 공이 물에 스며들었을 때 무거워지는 것을 최소화했다.

1986년 멕시코월드컵에선 최초로 인조가죽(폴리우레탄)이 사용된 신개념 축구공 ‘아스테카 멕시코’가 등장했다. 인조가죽 덕분에 수분 흡수가 방지됐고 공의 내구성은 더욱 향상됐다. 아스테카 문명의 화려한 벽화 문양을 새기는 등 축구공 디자인도 파격적인 변화가 찾아왔다.

월드컵 공인구는 1990년 이탈리아월드컵(에투르스코 유니코)과 1994년 미국월드컵(퀘스트라), 1998년 프랑스월드컵(트리콜로)을 거쳐 발전을 거듭했다. 공의 탄력과 반발력은 더욱 좋아졌고 스피드는 훨씬 향상됐다. 선수들의 플레이는 쉬워진 반면 공을 막아야 하는 골키퍼는 더욱 곤혹스러워졌다.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사용된 ‘피버노바’는 기존과는 전혀 다른 혁신적인 디자인과 함께 가스를 충전시킨 작은 캡슐을 볼 바탕에 넣어 축구공의 반발력을 최대한 끌어올렸다.

축구공은 2006년 독일월드컵 공인구 ‘팀가이스트’를 통해 한 단계 더 개선되었다. 팀가이스트는 기존 32개의 조각(6각형과 5각형)이 아닌 14개의 조각으로 이뤄졌다. 조각 수가 감소하면서 더욱 완벽한 원형을 구현했다.

2010년 남아공월드컵 ‘자블라니’에선 14개의 조각이 8개로 줄어든데다 축구공 표면에 미세 특수 돌기를 적용해 볼 컨트롤과 슈팅 정확도를 눈에 띄게 높였다.

▶ 관련포토갤러리 ◀ ☞ 2014 FIFA 브라질 월드컵 공인구 브라주카 공개 사진 더보기
▶ 관련기사 ◀
☞ '더 매끈해졌다' 2014 브라질월드컵 공인구 브라주카 공개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