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위터 김연정 글로벌 K콘텐츠 파트너십 총괄 상무는 지난 1일(이하 한국시간 기준)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있는 CGV LA에서 열린 ‘카운트다운 투 2021 MAMA : 더 퓨처 오브 K팝 패널 세션’(COUNTDOWN TO 2021 MAMA : THE FUTURE OF K-POP PANEL SESSION) 행사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이 같은 견해를 밝혔다.
김 상무는 “2017년 K팝의 글로벌화 분위기가 감지됐고 이듬해부터 K팝은 더이상 아시아만의 것이 아닌 문화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방탄소년단(BTS)을 포함한 여러 훌륭한 그룹들이 일종의 ‘소셜미디어 샤워’를 받으며 성장했다“며 ”다양한 SNS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된 상황이 K팝 글로벌화 현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과거엔 K콘텐츠를 좋아하는 이들이 K팝까지 찾아들었다면 지금은 K팝이 K콘텐츠의 선봉에 있다”며 “SNS와 OTT 플랫폼이 발전한 상황 속 K팝에 이어 K드라마·영화의 글로벌화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전망했다.
트위터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이 LA 소파이 스타디움에서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 LA’(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 LA) 1, 2일차 공연을 펼친 지난달 28~29일 양일간 전 세계에서 2600만건이 넘는 트윗이 쏟아졌다. 방탄소년단, 그리고 SNS 플랫폼의 영향력을 실감케 하는 수치다.
그러면서 김 상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도 SNS가 K팝과 K콘텐츠를 널리 알리는 데 있어 중요한 창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에스파, 엔하이픈 등 이른바 4세대 아이돌 그룹들이 코로나19 상황 속 대면 공연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해 인기 그룹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모든 지역의 팬을을 대면 공연을 통해 만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트위터 블루룸 등 SNS 플랫폼을 활용한 라이브 스트림 활동 등을 동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K팝과 K콘텐츠의 동반 인기는 여러모로 시너지를 낼 수 있다. K팝 그룹 멤버들이 드라마와 영화의 OST를 부르며 각자의 매력을 알릴 기회를 얻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며 “앞으로 그와 같은 선순환 흐름이 더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