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영화제들은 최근 고질적인 예산 부족 문제를 비롯해 내부 리스크, 지자체와의 갈등 등 각종 변수로 경쟁력이 약화하며 존폐의 기로에 섰다. 특히 올해는 정부의 지원을 받는 영화제가 40곳에서 10곳으로 줄어들며 30개에 가까운 저예산 독립영화제들이 소멸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정준호 위원장은 “영화제는 홍보 및 개봉이 쉽지 않은 독립·예술 영화들을 국내외에 소개하는 시장이 되어주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도, “그런 영화제가 제 기능을 못하는 건, 우리의 인식이 우물 안 개구리에 머물러 있어서라고 생각한다”고 문제점을 짚었다. 상영작들이 영화제를 통해 입소문을 타고 개봉 후 인기 및 화제성으로도 이어져야 순기능이 완성되는데, 대중화의 측면에서 교두보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단 의미다.
집행위원장 한 명의 역량에 모든 게 좌우되는 시스템이 문제라고도 진단했다. 그는 “해외 출장을 다니며 느낀 게 국내 영화제 대체로 집행위원장 임기가 2~3년으로 매우 짧다. 몇 번 해외 가서 영화인들과 인사를 나누면 임기가 끝난다”며 “집행위원장이 바뀔 때마다 국내외 네트워크의 연속성도 단절되는 느낌이 들었다”고 꼬집었다.
영화제가 제대로 된 창구로 기능하기 위해선 국내외 영화계와 지속적 관계 유지에 힘쓸 수 있는 소통형 실무자를 더욱 발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위원장은 “사람을 잘 사귀고 해외의 파티 문화에 익숙한 소통형 인재가 있어야 한다”며 “해외 문화에 익숙해야 그들과 몇 마디 더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영화에 대한 지식이 꼭 해박하지 않더라도 해외 투자자들을 잘 설득하는 등 영화제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성격을 지닌 인재들을 다양하게 기용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계약직이라도 영화제에 부족한 업무 부문이 있으면 필요할 때마다 전문 인재를 고용해 채워줄 수 있어야 한다. 그 인재가 기업인 출신이 될 수도, 상업예술인이 될 수도 있는 것”이라며 “다른 분야의 인재들까지 적극 껴안아야 영화제에 관심갖는 주체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