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PGA 투어를 뛰는 한 선수당 1년 투어 경비가 1억 2000~5000만원까지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해가 갈수록 느는 비용 부담에 대부분의 선수들이 손해를 보고 경기를 뛰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이 길어진다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선수층이 얇아지게 되고 결국 경기력 하락으로 이어져 KLPGA 투어 호황기가 짧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여자 골프계는 최근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해지는 모양새다. 지난해 상금 랭킹 15위까지 선수들이 5억원 이상의 상금을 번 고액 연봉자였다. 그중에서도 박민지(25·약 14억7792만원)와 김수지(27·약 10억8258만원)가 상금만으로 10억원 이상을 벌어들였고, 신예 이예원(20)은 우승 없이도 상금 8억4900만원을 획득했다. KLPGA 투어가 호황기를 맞으면서 일부 선수들의 상금 규모도 커진 셈이다. 하지만 이는 일부 선수들의 이야기일 뿐이라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상금 랭킹을 살펴보면 55위 안에 든 선수들만이 ‘본전’이라도 뽑는 투어 생활을 했다”면서도 “특히 상금 랭킹 15위 내의 선수들은 스폰서들의 후원금을 두둑하게 받아 큰 걱정이 없지만 이외의 선수들은 1년 내내 투어를 뛰고도 대부분 손해를 봐야 했다.”고 토로했다. 이들 선수들은 가족이 캐디를 하거나 가족과 함께 다니는 선수들은 조금이라도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숙소를 같이 쓰는 불편함도 감수한다. 특히 상금 순위 30위 밑의 선수 중에서도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지 못해 이들은 상금에 ‘올인’해야 하는 실정이다.
|
후원 기업의 ‘성향’도 선수의 해외 투어 진출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선수들에게는 상금 외 스폰서의 후원금이 주 수입원이다. 문제는 내수시장을 선호하는 기업의 경우다. 이들 기업은 해외 투어에 진출하려는 선수를 후원하지 않는다. 기업 노출 빈도가 떨어지고 해외 홍보가 굳이 필요하지 않아서다.
한 관계자는 “지난해 KLPGA 투어에서 LPGA 퀄리파잉 시리즈를 본다고 했던 선수가 여럿 있었다. 그러나 결국 유해란 혼자 출전했던 것이 이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오히려 국내 유망주를 후원하는 것이 비용이 적게 들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국내 선수 및 국내 투어에 후원하는 기업이 많아졌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