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세계적 수준의 AI 기술력 및 R&D 생태계 확보’ 계획 청사진을 공개했다. 중점 추진방안으로는 △세계 수준의 AI 기술력 확보를 비롯해 △최고급 인재 양성 △개방 협력형 연구기반 조성 등을 제시했다.
|
정부는 우선 전략적으로 AI 기술역량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대형 공공 특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인천국제공항 같은 대형 인프라에 대한 보안 관제에 위험인물이나 객체를 식별, 감시하고 추적하는 사업을 진행한다. 얼굴인식 정확도 향상과 위험·이상상황 탐지 등 영상 분석 기술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
국방 분야에서는 AI 기반 작전지휘통제 체계를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로 오판율을 30% 줄이고, 의료 분야에서는 실시간 응급상황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을 통해 골든타임 확보에 나선다.
AI 기술 확보를 위한 공모 지원사업인 ‘챌린지’를 확대 개편해 정부가 문제를 제시하면 민간이 선행연구를 진행하고 이에 대해 다시 정부가 우수 연구팀을 선정해 후속연구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 밖에 신약 개발이나 미래 소재 개발 등 AI와 다른 분야의 혁신 시너지 확보를 모색하고, AI 성능 강화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뇌과학 연구나 신경망 컴퓨팅 기초연구 등 관련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고급인력 1300명 양성-전문기업 100개 ‘2022 비전’
2022년까지 5000여명 규모의 인재 양성과 산업 생태계 확대에도 나선다. 우선 고급인재를 1300명 규모로 양성하기 위해 △석·박사급 AI 연구자 260명 양성을 위한 6곳의 ‘인공지능 대학원 신설’을 비롯해 △세계적인 관련 기업 내부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레지던시’ △미국, 중국, 프랑스 등 해외 AI 우수기관과 연구협력 추진 등을 시행한다.
융·복합인재 3600명 규모 양성 계획을 통해 업계 경력 10년 이상의 멘토가 관련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진행하고, 실무교육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지역마다 거점 대학 등을 통해 AI 연구거점을 조성, 주요 기업체와의 산학협력을 통한 AI 실전 적용 사례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각 거점당 연간 20억원을 지원해 최대 7년간 기술개발을 지원하며 기술 확보와 인력 양성을 돕는다. 남철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정책팀장은 “제조업 기업들이 AI를 생산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상당하다”며 “현지 주요 대학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방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외에 AI R&D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 자원 제공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SW) 활용 플랫폼 구축은 물론, 기계학습(머신러닝)에 필요한 데이터 1억6000만건 구축과 변환 지원, 한국어 말뭉치 데이터 152억7000만 구절 확보 등을 통해 기반 데이터 마련에 대한 계획도 덧붙였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세계 AI 관련 시장 규모는 지난해 124억달러에서 2021년 522억달러로 연평균 44% 성장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