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th SRE][WORST]내우외환에 빠진 현대·기아차

美·中 시장 '흔들', 국내 점유율도 하락
계열 부품사들도 울상
변화하는 자동차 시장, 대응능력 必
  • 등록 2018-05-16 오후 3:22:21

    수정 2018-05-16 오후 3:22:21

[이데일리 김무연 기자] ‘자동차 왕국’ 현대·기아차의 명성이 흔들리고 있다. 현대차는 올 1분기 대규모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실적이 저조한데다 수입차의 선전으로 내수 시장내 지배력마저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내 자동차 수요 감소와 국내 자동차 시장의 성장 정체로 올해 자동차 영업 환경은 여전히 어려울 전망이다. 여기에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의 먹거리를 고민해야 하는 숙제까지 더해졌다. 현대·기아차의 부진은 부품 계열사의 신용등급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시장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27회 SRE에서 기업별 등급 적정성을 묻는 질문(워스트레이팅)에 유효응답자 188명 중 34명(18.1%)이 현대자동차(AAA)와 기아자동차(AA+)의 등급이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특히 이 중 단 1명을 제외한 모두가 현대·기아차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26회 SRE에서 13.7%의 득표율을 보이며 워스트레이팅 3위에 오른 데 이어 이번에 40개 대상 기업 중 두 번째로 많은 표를 받으며 한 계단 순위가 상승했다. 현대·기아차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주력시장서 죽쓰는 현대차

최고 신용등급인 ‘AAA’ 등급을 보유 중인 현대차(005380)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는 뭘까. 우선 미국 시장에서의 실적 부진이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10월 누적 기준 현대·기아차의 미국 시장 판매량은 전년대비 10.4% 감소했다. 8%를 웃돌던 점유율도 7.5%까지 떨어졌다. 미국 시장이 현대차 전체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국내 판매량 비중(16%)과 비슷한 15% 수준으로 미국 시장 성과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미국 내 자동차 수요 감소 추세에 맞물려 현대차의 주력 제품군인 세단 판매 급감이 매출 부진의 이유로 꼽힌다. 미국 시장에서는 현대차뿐 아니라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일본계와 포드, 지엠, 크라이슬러 등 미국계 자동차 업체들의 세단 판매도 감소했다. 현대차의 주력 상품 중 하나인 소나타의 지난 10월 누적 기준 판매량은 전년 동기에 비해 32% 줄었다. 그러나 현대차에서 세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높다. 지난 2016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차종별 판매 비중에서 레저용차(RV)가 차지하는 비율이 41.5%로 집계됐는데 같은해 현대차의 RV 판매 비중은 26.8%에 그쳤다.

중국 시장 상황도 여의치 않다. 사드 보복 여파는 잦아들고 있지만 고급차와 저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수요가 늘어나는 현지 상황에 맞는 전략적 상품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 문제다. 중국 동부에서는 고급차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고 도로 상황이 나쁘고 소득이 낮은 서부에서는 저가 SUV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고급 세단 라인업이 벤츠, 아우디 등 유럽 브랜드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고 저가형 SUV는 값싼 중국 제품에 밀리면서 현대·기아차가 중국 시장의 포지셔닝에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내수시장 환경도 양사에 우호적이지 않다. 현대차와 기아차(000270)는 여전히 내수 시장에서 견고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내수 시장의 성장성이 정체기에 접어든 데다 수입차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국내 시장내 지배력도 과거에 비해 크게 약화됐다. 지난 2010년 국내시장에서 73.5%에 달하던 현대·기아차의 점유율은 지난해 67.5%까지 떨어졌다. 반면 이 기간 수입차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5.8%에서 13%까지 상승했다.

‘큰형님’ 현대차 어닝쇼크에 기아차 등 계열사도 울상

현대차에 대한 시장의 우려는 현실화됐다. 지난해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4조 5747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12% 감소했다. 5%대를 유지하던 영업이익률도 4.7% 수준으로 내려가며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NICE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 2016년 9% 수준이던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마진은 7.7%까지 떨어졌다. NICE신평은 차량부문의 EBITDA 마진이 지속적으로 8%를 밑돌 경우 신용등급 하향 조정을 검토할 수 있다고 경고한 상태다. 특히 현대차는 올 1분기 22조 4366억원 매출액과 6813억원 영업이익을 내는데 그치며 어닝쇼크를 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각각 4%, 45.5% 감소한 수준이다.

기아차는 더욱 문제다. 지난해 통상임금 소송에서 일부 패소 판결을 받았던 기아차는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미국·중국 시장에서 판매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되며 내우외환을 겪고 있다. 실제로 기아자동차는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2조원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은 6622억원에 그쳤다. 영업이익률은 1.2%에 불과했다.

문제는 양사의 부진이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 끼칠 영향이다. 시장에서는 국내 완성차 기업 정점에 있는 현대·기아차의 실적 부진은 차량 부품 등 관련 사업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신용평가사 3사 모두 현대위아(AA)의 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한국신용평가와 NICE신평은 지난 4월 현대위아(011210)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변경했고, 이어 한국기업평가도 하향 움직임에 동참했다.

변화하는 자동차 시장, 대응능력이 관건

결국 새롭게 출시되는 신차의 경쟁력이 관건이다. 현대·기아차는 내년까지 해외에서 벨로스터N, 신형 쌍트로, 넥쏘, 신형 K3 및 대형 SUV 등 새로운 라인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약세를 보였던 RV 라인업을 다양화했다. 최재호 NICE신평 연구원은 “올해 현대·기아차가 미국, 중국 시장을 노리고 전략적 판단하에 다양한 신차 라인업을 선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친환경 자동차와 자율주행차 등 차세대 자동차 이슈에 대한 현대·기아차의 대응은 적절하다는 평가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기아차 쏘울 EV,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 등 전기차를 1만 2992대 판매하며 르노닛산과 폭스바겐에 이어 주요 완성차 업체 중 전기차 판매량 3위를 차지했다. 지난 2015년과 비교해 50% 늘어난 수치다. 또한 2세대 수소차 ‘넥쏘’를 내놓으며 수소차 시장 선점에도 나서고 있다.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개발에도 속력을 올리고 있다. 현대차는 오는 2021년까지 레벨4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미국 스타트업 ‘오로라’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또한 엔비디아와 인텔-모빌아이 등과 협업도 논의 중이다. 한 SRE 자문위원은 “테슬라 등에 가려진 측면이 있지만 완성차 기업 중 현대·기아차가 전기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며 “미래를 예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 현대·기아차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두고 투자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무안공항 여객기 잔해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