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사정 합의문에 반기를 든 강경파는 민주노총 내부에서도 소수다. 사회적 대화 필요성을 인정하는 국민파나 조건부 찬성 기조인 중앙파가 민주노총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번 합의에 의지를 보였던 김 위원장은 국민파로 분류된다. 지난달 30일 열린 중앙집행위원회(중집)에서 사회적 합의문 추인이 어려워지자 김 위원장은 “일부 중집 성원들이 일관되게 폐기해야 된다고 주장하는데 살려가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뒤 중집을 마쳤다.
강경파로 분류되는 소수의 현장파는 합의문 이전에 사회적 대화 자체를 거부해 왔다. 사회적 대화는 결국 노조가 정부와 기업의 들러리 역할을 할 뿐이라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이날 협약식이 불발된 후 ‘비정규직 이제 그만 1100만 비정규직 공동투쟁’은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합의는 사회적 대타협이 아니라 기업주들을 위한 타협”이라며 “노동자를 죽음의 구렁텅이로 넣는 안”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수억 전 금속노조 기아차 비정규직 지회장은 기자회견에서 “22년 전 노사정 대타협은 정리해고 파견법이었다”며 “가장 먼저 타협할 부분은 해고금지인데 합의안에 어떤 법적, 제도적 장치도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비정규직 정리해고에 대해 정부는 아무일도 하고 있지 않다”며 “이런 노사정대타협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이번 사태로 ‘온건파’ 김 위원장의 리더십 역시 도전받게 됐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중집이 결론을 내리지 못했을 때 ‘거취’ 문제까지 언급하며 사회적 대타협 참여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지만 결국 내부 갈등을 봉합하는데 실패했다.
일각에선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비정규직 공동투쟁 등 강경파가 힘을 얻으면서 사회적 대화가 좌절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사회적 대화 자체를 거부하는 이들은 강경파 내에서도 소수임에도 민주노총이 이들에게 휘둘리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