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금융당국이 제약·바이오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테마감리 결과에 대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4월부터 연구·개발(R&D) 비용의 자산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약·바이오업체 10곳에 대한 테마감리를 시작했다. 대상 기업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2016년 말 기준 152개 상장 제약·바이오업체 중 55%(83곳)가 R&D 비용 대부분을 무형자산으로 처리하고 있어 투자 판단을 왜곡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R&D 비용을 재무제표에서 ‘자산’이 아닌 ‘비용’으로 잡는 기준을 마련해 기존에 자산화한 기업의 이익은 감소한 것처럼 보이지만, 신약개발의 불확실성을 감안한 기준을 마련한 것에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지난 9월 금융당국은 제약·바이오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관련 감독지침’을 발표하고 신약의 경우 임상 3상부터 자산화를 승인하며,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의 경우 이보다 완화한 임상 1상부터 자산화가 가능하다는 기준을 내세운 바 있다. 이에 지난 3분기 재무제표부터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이를 반영했다. 일례로 셀트리온(068270)은 3분기 R&D 비용 자산화 비율이 전년대비 10.1%포인트, 차바이오텍(085660)은 51.7%포인트 감소했다.
이 같은 지침 마련과 이번 테마감리 결과 발표에 대해 증권가 관계자는 “제약·바이오산업의 핵심가치는 신약개발에 있는데, 이를 회계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면서 연구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 것”으로 평가했다. 기존에도 R&D 자금을 자산이 아닌 비용처리로 해왔던 바이오업체 관계자도 “신약개발 투자에 들어가는 자금을 자산으로 잡더라도 회사의 외형으로 연결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다”며 “결손이 어느 정도인지 투명하게 알리는 것이 투자자에게도 혼란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