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까지는 최소한 다음해 초까지 비대위를 운영하겠다는 김 위원장 방침에 당내 공식반발은 없는 상황이지만, 향후 비대위 운영 방향에 따라 극에 달했던 친박(박근혜)계와 바른정당 복당파 간 갈등이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당초 친박계와 일부 중진들은 조기 전당대회를 위한 2~3개월의 ‘관리형 비대위’를 주장해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잇달아 열린 의원총회와 상임전국위를 통해 9명의 비대위원 인선을 마쳤다. 원내인사로는 당연직인 김성태 원내대표와 함진규 정책위의장을 포함해 재선 박덕흠·초선 김종석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외부 인사로는 최병길 전(前) 삼표시멘트 대표이사와 김대준 소상공인연합회 사무총장, 이수희 마중물 여성연대 대변인, 정현호 한국청년정책학회 이사장 등이 수혈됐다. 어려운 소상공인 경제여건과 여성·청년 안배를 고려한 구성으로, 지난 2012년 총선을 앞두고 출범한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가 10명의 비대위원 중 김종인·이상돈·이준석 등 6명을 외부 영입으로 채운 것과 비슷한 비율이다.
김병준 비대위는 일단 인적청산보다는 문재인 정부와 각을 세우면서 한국당의 독자적인 가치·정책 노선을 재정립하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이런 가치를 기준으로 당협위원장 조정 등을 통해 인적개편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여권 내부에서도 침몰 직전의 난파선으로 비유되는 한국당의 정치적 회복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나온다. 향후 각종 민생법안 처리와 주요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서는 협상 최우선 파트너인 제1야당이 어느 정도 자기중심을 잡아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김성태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대행을 할 당시에는 제대로 된 현안논의 자체가 어려웠다”며 “우리로서도 협상 상대이자 원내 2당인 한국당이 내부문제를 일정부분 수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