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여야관계는 남북관계보다 더 나쁘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최악이라는 게 부담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취임 이후 ‘여야 협치’ 분위기 조성에 공을 들였다. 지난해 6월 추가경정예산안, 11월 올해 예산안 처리를 위한 시정연설은 물론 여여 5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회동을 가졌지만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이번 시정연설이 야권, 특히 자유한국당을 설득할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다만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한국당이 또다시 현수막 시위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 당부…한반도 평화구축 제도적 기반 다진다
이는 남북 정상 간 합의에 대해 국회 비준이라는 제도적 뒷받침이 없을 경우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역시 사상누각에 놓일 수밖에 없다. 과거 남북정상 간 합의가 반짝 효과가 그친 것 역시 국회 비준 부재로 유야무야 됐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시정연설에서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 내용을 여야 의원들에게 직접 설명하면서 국회에 계류 중인 판문점선언의 비준은 물론 이와 관련한 재정적 뒷받침과 필요한 입법사항에 대한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평양공동선언과 남북 군사분야 합의서의 국무회의 비준을 놓고 야당이 ‘위헌’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설득 여부는 미지수다.
고용참사에 이어 코스피 2000선 붕괴…민생경제분야 성과 위해 여야 초당적 협조 당부
더구나 문 대통령이 집권 3년 차 임기 중반을 맞이하는 2019년은 중대 분수령이다. 경제분야에서 국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성과가 없을 경우 지지율 추락은 물론 소득주도성장을 기치로 내건 문재인정부 경제정책의 정당성마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은 이번 시정연설에서 어려운 경제현실 타개를 위해 민생경제와 관련한 입법사항에 대해서는 여야에 초당적 협조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현 정부 출범 이후 경제성과 부진에 대한 유감 표명과 더불어 새로운 정책구상을 밝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흘러나온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4일 SK하이닉스의 청주공장 준공식 현장에서 열린 일자리위원회 8차 회의에서 “산업구조 변화, 고용없는 성장, 주력산업 구조조정, 어려운 자영업 여건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어려움에 대해 해법을 찾지 못했다는 비판을 감수하지 않을 수 없다”며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결국 기업”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