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르스 사태 종료 수순…공식 종료는 10월16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메르스 확진환자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면서 “이날 오후부터 격리가 해제돼 음압격리병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겨 필요한 치료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격리 중인 밀접접촉자 21명에 대해서는 오는 20일 메르스 2차 검사를 실시해 음성으로 확인될 경우 잠복기 14일이 경과하는 22일 자정 격리를 해제한다. 이들은 지난 13일 1차 검사 결과 전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일상접촉자(17일 오후 6시 기준 399명)에 대한 능동형 감시 역시 같은 시각 종료한다. 박 장관은 “추가 환자가 없다면 이번 사태는 사실상 22일 종료된다”면서 “다만 공식 종료시점은 메르스 지침에 따라 이날부터 최대 잠복기의 두 배(28일)가 경과한 10월16일 자정”이라고 설명했다.
|
메르스 환자는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6일까지 업무로 쿠웨이트 출장을 다녀왔다 7일 귀국했다. 귀국 당시 설사 증상에 따른 탈수 등 체력 저하로 휠체어를 요청할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다. 쿠웨이트 방문 중 설사 증상으로 두 차례 현지 병원을 방문했지만 공항 검역대에서는 설사 증상 외에는 다른 증상이 없다고 말했고 체온도 정상이었다. 검역관은 기침이나 발열 등 메르스 의심 증상이 없자 환자를 내보냈다.
정부는 발 빠르게 대응했다. 즉시 밀접접촉자 20명을 파악해 격리 조치했고, 일상접촉자도 빠르게 추려냈다. 이후 CCTV 등을 통해 밀접접촉자 한명을 추가로 확인해 격리했다. 일상접촉자도 수동감시가 아닌 능동감시(자택 등에 격리해 각 지역 보건소가 일대일로 증상 모니터링, 이번에는 자택격리는 하지 않음)로 전환해 적극 감시에 나섰다.
3년 전과는 확연히 달라진 대처다. 당시 첫번째 메르스 환자는 병원을 세 곳이나 돌아다니며 진료를 받았고, 확진까지 열흘가량이 걸리면서 28명에게 메르스 바이러스를 전파했다. 당시 부실한 초기 대응으로 국내에서만 186명의 확진 환자가 발생했고 이중 38명이 사망했다.
이번에는 확진자 한명 이후 추가 환자는 없었고, 밀접접촉자도 21명에서 멈췄다. 의심환자는 14명이었지만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대응 잘 했지만…검역 허점 아쉬워
질병관리본부의 소통 과정에서도 혼선이 빚어졌다. 질병관리본부는 가장 처음에는 환자 이송을 ‘음압구급차’를 사용했다고 발표했지만 이후 이를 ‘특수구급차’로 정정했고, 다시 한번 ‘일반구급차’로 수정해 논란을 일으켰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본부장은 “정확한 용어와 개념으로 처음부터 안내를 하지 못해 혼란을 일으킨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의심환자 이송은 격벽이 있는 일반구급차를 사용하고 이송 요원들이 개인보호구를 하는 것으로 지침이 돼있어 이번 대응은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역시 이번 정부 대응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인력 부족 등 근본적인 문제가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3년 전에 비하면 정부 대응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라면서 “특히 삼성서울병원 등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큰 줄기에서의 감염병 대응 방향이 잡힌 것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는 “만약 이 환자가 질병에 대한 인식이 낮아 삼성서울병원으로 가지 않고 지역사회 작은 병원을 방문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라면서 “검역소 인력 부족과 예산 부족 등 근본적인 인프라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감염병 확산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능후 장관은 “이번 사태 전 과정에서 우리 국민이 메르스를 비롯한 감염병에 대해 상당히 높은 수준의 방역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면서 “하지만 보강할 부분은 좀 더 보강해서 향후에도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