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양 산업부 장관도 같은 장소에서 방한한 야체크 사신(Jacek Sasin)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과 이 사업에 대한 양국 정부 차원의 지원 내용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폴 정부 추진 6기는 美에…민간 추진 2~4기는 韓에
폴란드 정부는 지난해 정부·민간이 원전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내용의 ‘폴란드 에너지 정책 2040(PEP2040)’을 발표했었다. 또 지난 28일(현지시간) 자국 원전 6기 신규 건설 정부 프로젝트 사업자로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선정했다. 발표 직후 한수원이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 수주 경쟁에서 밀렸다는 해석이 나왔으나 이틀 후인 이날 한국에서 이뤄진 이번 LOI로 ‘정부 추진 사업은 미국, 민간 추진 사업은 한국’이라는 구도였음을 확인하게 됐다.
|
산업부 관계자 역시 “정식 수출계약이 아닌 LOI·MOU지만 폴란드 부총리가 한국에 와서 직접 (한국형 원자로) APR1400을 명시한 계약서에 서명한 만큼 (원전 수출 가능성 면에서 한층) 진일보한 성과로 평가한다”며 “앞으로 기본 계획 수립과 사업 타당성 조사를 거쳐 협력 내용을 구체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이르면 1년여 기간 내 본계약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한수원을 포함한 LOI 참여 3개사는 올해 말까지 이 사업의 소요 예산, 자금 조달, 예상 공정 등이 담긴 개발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제팍 등 현지 원전사업 추진 기업은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진행할 정부 원전 건설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2026년 착공해 2043년 마무리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그러려면 1~2년 이내에 한수원과 본계약을 맺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력이 정식 계약으로 이어진다면 K-원전은 사상 두 번째 수출 성과가 된다. K-원전은 지난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4기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해 현재 3기까지 가동을 마친 상태다. 한수원은 올 8월에도 3조원 규모 이집트 엘다바 원전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나, 이는 원자로를 비롯한 핵심 기자재를 뺀 채 프로젝트 주 사업자인 러시아 로사톰의 자회사 ASE와 맺은 일종의 하도급 계약인 만큼 완전한 K-원전 수출 성과로 볼 순 없다.
|
美 웨스팅하우스 소송 등 변수도…양국 “큰 문제 아냐”
변수도 있다. 이 사업 자체의 추진 여부를 아직 단언할 수 없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에 따르면 이번에 처음으로 원전 사업을 추진하는 폴란드는 최근 1년여 기간 이미 5건의 관련 LOI를 맺은 바 있다. 이번 LOI의 주체인 제팍 역시 지난해 8월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 일본 히타치, 폴란드 화학기업 SGE와 함께 이곳에서의 소형 모듈원자로(SMR) 건설 LOI를 맺은 바 있다. 사신 부총리가 내년 10월13일로 예정된 폴란드 현지 총선을 앞두고 LOI를 남발하는 것이란 주장도 있다.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이달 21일 미국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에 한수원과 한국전력(015760)(한전)을 상대로 지식재산권 소송을 건 것도 변수다. 웨스팅하우스는 최신 한국형 원자로 ‘APR1400’이 자사 기술 기반인 만큼 이들이 원전을 수출하려면 자사와 미국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한국·폴란드 양국 정부는 이 소송은 큰 문제가 아니라고 평가했다. 사신 부총리는 이날 행사에서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의견 차이일 뿐”이라며 “기업 간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박일준 산업부 2차관 역시 같은 날 이와 관련해 “웨스팅하우스는 민간 기업이기 때문에 정부 간 관계와 결이 다를 수 있지만 한미 양국 정부가 큰 틀에서 원전 협력 잘해나가는 데 이견이 없고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라며 “한국은 K-원전을 독자 기술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런 부분이 소송을 통해 정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