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회사의 2019년 3월 이전 입사자를 대상으로 2월 26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받는다.
희망퇴직자에게는 법정 퇴직금 외에 근속년수에 따라 사무직의 경우 6~24개월치, 생산·서비스직군의 경우 15~36개월치 급여를 특별 위로금으로 지급한다. 또 자녀학자금으로 자녀 1인당 1000만원, 신종단체상해(의료비) 보험, 차량할인 혜택, 장기근속 휴가비 지원, 전직지원서비스 등도 제공된다.
르노삼성은 희망퇴직 시 받게 되는 모든 처우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인당 평균 1억 8000만원 수준이고 최대 2억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퇴직일자는 2월 28일이다.
또 르노삼성은 위기극복을 위해 희망퇴직과 함께 전체 임원의 40%를 줄이고 남은 임원에 대한 임금 20% 삭감 등 서바이벌 플랜을 가동한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르노삼성의 수익성과 수출경쟁력 개선 없이는 르노그룹으로부터 향후 신차 프로젝트 수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대내외 경영 환경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조직 구조 개선과 함께 현재 판매와 생산량에 대응하는 고정비, 변동비의 축소 및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임단협 아직 안 끝나..희망퇴직 변수 될 수도
노조는 사측의 희망퇴직 시행에 대해, 당장 반발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강제적인 정리해고는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희망퇴직에서 경영진이 기대하는 수준으로 퇴직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엔 상황이 복잡해진다. 보다 강도높은 구조조정 카드가 나올 수 있어서다. 만약 정리해고가 단행될 경우 2008년 쌍용자동차 사태와 같은 극한 투쟁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노조 내부에서는 단지 한해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것이 성급하다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르노삼성 자체의 상황보다는 르노그룹의 글로벌 정책이 이번 희망퇴직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사측 관계자는 “희망퇴직 시행에 대해 사전에 노조와 협의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한편, 르노삼성은 지난해 내수와 수출을 더해 총 11만6166대를 판매해 전년보다 34.5%가 줄어든 실적을 기록했다. 전체 생산대수 역시 11만2171대로 전년보다 31.5% 감소했다. 판매대수와 생산물량 모두 2004년 이후 1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2012년 이후 8년만에 영업이익 적자가 예상된다. 국내 완성차 5개사 중에서도 쌍용자동차(10만7416대)와 함께 10만대 선에 머물렀고, 전년 대비 감소폭이 가장 컸다.
르노그룹은 최근 수익성 강화를 중심으로 경영 방향을 전환하는 ‘르놀루션(Renaulution)’ 경영전략안을 발표했으며, 한국을 라틴 아메리카, 인도와 함께 현재보다 수익성을 더욱 강화해야 할 지역으로 지목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