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로써 지난 달 27일 4당 원내대표가 ‘국회 정상화’를 합의한 지 일주일만에 다시 합의가 깨졌다. 다만 양 당은 국가 안보의 위중한 상황을 고려해 국방위·정보위·외통위에는 참여하기로 했다. 이에 새 지도부 출범과 동시에 ‘협조할 것은 협조하는’ 야당을 약속한 두 보수정당이 정작 ‘말과 행동은 정반대로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야당의 주장이 이렇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에서 다른 일정을 참여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며 “국방위·정보위·외통위 외의 상임위는 일체 참여하지 않기로 한다”며 상임위 ‘보이콧’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도 같은날 의총에서 “의원님들과 협의해서 내일부터 추경·정부 조직법 관련 심의하는 상임위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며 “문재인 정부가 지목되서는 안 될 교육부장관 임명한 것에 대한 저희 야당으로서 취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치라 판단한다”며 나란히 ‘보이콧’을 선언했다.
앞서 한국당·바른정당의 새 지도부를 선출했다. 모두 기존의 ‘반대 일변도’ 야당이 아닌 ‘협조할 것은 협조하는’ 건설적인 야당을 약속했다. 신임 홍준표 대표는 누차 ‘내각구성을 방해하지는 않겠다’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을 예방한 직후에도 “(청문회 인사의 부적격을 위해 )당력을 쏟을 필요는 없다”며 “판단은 국민들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추가 경정예산·정부조직법에 있어서도 꽤 협조적이다.
그러나 정작 ‘국회 보이콧’을 선언하며 새 지도부의 정체성이 다시 모호해졌다는 비판이다. ‘건설적인 야당’을 약속하더니 이전까지 반복되던 ‘발목잡기’ 야당과 다를 바 없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사이 보수정당의 지지율은 여전히 한 자릿수를 맴돌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마다 조금씩 결과가 다르지만 7~10%를 넘나들며 엎치락 뒷치락하고 있다. 50%에 육박하는 여당과는 비교할만 한 수준이 아니다. 향후 ‘대여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차이가 벌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의사일정 거부라는 ‘막무가내식’ 반대가 아닌 중도 보수층의 마음을 얻기위한 ‘차별화’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