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수출관련 지식기반의 서비스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한·중 FTA 추가 협상 시 고부가가치 분야에 대한 개방 추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최정희 과장과 백승진 조사역은 22일 이 같은 내용의 ‘중국의 소비시장 급성장과 대전충남의 대응전략’ 보고서를 작성·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개혁개방 이후 수출·투자 위주의 양적 성장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 둔화와 함께 내수·소비 주도형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소비재 수입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통신·교통 등 서비스 관련 소비 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온라인 쇼핑의 매출증가율(49%, 2014년 기준)도 타 유통채널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해외직구 규모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2000년과 비교해도 당시 6.4%를 기록했던 대중국 소비재시장 점유율은 2014년 3.1%p 하락한 3.3%로 독일과 영국, 이탈리아 등 유럽권 국가들에게 밀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중국이 전체 수입액 중 중간재 비중이 감소하는 반면 소비재 비중이 증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중간재 위주의 수출구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중국의 소비재 수입비중(2014년 기준)이 2000년과 비교해 3.7%p 증가하는 동안 우리나라의 대중국 소비재 수출비중은 오히려 0.03%p 감소했다.
충남지역 역시 대중국 수출은 중간재(69.4%)와 자본재(29.5%)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소비재의 비중은 0.9%(2억 7000만달러)로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충남지역 전체 소비재 수출액(24억달러) 중 대중국 소비재 비중은 11.2%(2.7억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중국 서비스수지는 여행과 운송을 중심으로 흑자규모가 크게 증가했지만 대전충남지역 기업들의 대중국 서비스 수출은 미미한 수준이다.
대중국 관광 수요 창출을 위해서는 교통과 숙박, 쇼핑 등 관광·레저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한국은행 최정희 과장은 “충남지역 경제계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중국 시장에서 기존의 주요 수출품의 입지를 확고히 함과 동시에 중국 소비자들의 니즈를 분석해 소비시장을 개척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빠른 속도로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화장품, 김·홍삼차, 조제분유 등을 중심으로 타겟을 넓혀 신규고객을 창출하고 온라인 쇼핑몰과 홈쇼핑 등 유통채널을 다변화해 중국 소비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