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6만1000여가구의 소득과 주택가격을 규모 순으로 나란히 세운 후 가운데 위치한 중간값을 토대로 산정한 PIR(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는 5.5배로 전년 5.6배 대비 소폭 내려갔다.
이는 연소득 중간값인 가구가 전국에서 중앙값인 주택을 살 때 5.5년 걸린다는 얘기다.
전국을 기준으로 내 집 마련이 상대적으로 수월해졌다지만 이는 지방 부동산시장이 침체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도 지역 PIR이 2017년 4.0배에서 지난해 3.6배로 뚝 떨어지는 동안 수도권 PIR은 6.7배에서 6.9배로 뛰었다. 광역시 역시 PIR이 같은 기간 5.5배에서 5.6배로 높아졌다.
중간값이 아닌 평균값을 기준으로 구한 PIR은 전국 6.7배로 전년 6.4배 대비 외려 올랐다. △수도권 7.9배→8.6배 △광역시 등 5.8배→6.2배 △도 지역 4.5배 유지 등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나타냈다.
주택가격이 연 소득 최고 7배에 다다르다보니 대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신혼부부 가운데 자가가구의 PIR은 2017년 5.2배에서 지난해 5.3배로 늘었고, 임대료·대출금 상환이 부담된다는 응답률도 같은 기간 78.3%에서 82.7%로 많아졌다.
다만 국토부는 지난해 6~12월 조사를 진행해 지난해 9·13 대책에 따른 수도권 집값 안정 효과가 조사 결과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
임차가구의 월 소득에서 차지하는 월 임대료 비율(RIR) 역시 수도권과 광역시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중간값 기준 수도권 RIR은 1년 새 18.4%에서 18.6%로, 광역시 등 RIR은 15.3%에서 16.3%로 각각 상승했다. 도 지역 RIR만이 15.0%로 보합에 머물렀다.
평균값을 기준으로 한 수도권 RIR은 2017년 24.7%에서 지난해 24.0%로, 도 지역 RIR은 15.9%에서 15.4%로 각각 떨어졌다. 광역시 등 RIR만이 같은 기간 17.5%에서 17.6%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