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빛내리 RNA 연구단장, 장혜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연구팀과 함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9일 밝혔다.
|
즉 바이러스 전사체가 어떻게 구성됐는지 이해하고, 바이러스 유전자들이 유전체 상 위치를 정확히 파악한 것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유전자의 복잡하면서 숨겨진 비밀들을 풀 수 있는 지도를 확보하고, 유전체와 전사체에 대한 빅데이터를 생산해 후속 연구를 위한 정보도 확인했다.
이 하위유전체는 바이러스 입자구조를 구성하는 여러 단백질을 합성하며 복제된 유전자와 함께 숙주세포 안에서 바이러스 완성체를 이룬다. 이후 세포를 탈출해 새로운 세포를 감염시킨다. 숙주세포 안에서 생산된 RNA의 총합을 ‘전사체(Transcriptome)’라 한다.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진 하위유전체 RNA 10개 중 9개의 하위유전체RNA만 존재함을 확인했다. 또 세포 내에서 생산되는 RNA 수십여 종도 추가로 발견했고 다양한 형태의 하위유전체 RNA 재조합이 빈번하게 일어남을 확인했다. 바이러스 RNA에서는 메틸화와 같은 화학적 변형도 발견해 전사 이후 변형된 RNA들이 기존과 다른 특성을 갖고, 변형에 따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생활사와 병원성을 이해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김빛내리 단장은 “새로 발견한 RNA들이 바이러스 복제와 숙주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작용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으며, RNA의 화학적 변형이 바이러스 생존이나 면역 반응과 관련 있을 것”이라며 “이 RNA들과 RNA 변형은 바이러스 치료제를 개발할 때 새롭게 표적으로 삼을만한 후보군”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