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신규 집단대출에 브레이크가 걸린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가계부채 절감을 위한 정부의 대책에 약발이 먹히고 있다는 의미도 되지만 실수요자들로선 2금융권으로 대출을 이동하면서 금융비용 증가에 따른 부작용도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지난 8·25 대책에 이어 이번 11·3 대책으로 신규 집단대출 증가세는 계속 둔화될 것으로 분석한다.
기존대출 유지...신규대출 주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 등 6대 은행의 10월말 집단대출 잔액은 111조3551억원으로 전달에 비해 8050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증가폭(9712억원)에 비해 1600억원 이상 감소한 수준이며 올들어 월별 증가폭으로는 8월에 이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올해 집단대출 증가폭은 월평균(1∼10월) 1조3702억원에 달한다.
집단대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도 한풀 꺾이고 있다. 10월중 이들 6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은 2조8732억원으로 9월 증가분(3조969억원)에 비해 1조원 이상 감소했고 지난해 같은기간(7조596억원)과 비교하면 40%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수요자 2금융권 이동 우려...11·3 부동산 정책까지
문제는 신규 집단대출이 어려워질 경우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입는다는 점이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지금 상황은 신규 집단대출이 안 되고 있는 상황으로 파악된다”며 “실수요자가 금리가 높은 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으면서 금융부담이 증가하거나 분양받은 사람이 아파트 계약을 포기하면서 건설경기가 급랭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여기에 이날 분양권(아파트 입주 자격) 전매제한 규정을 강화한 부동산대책이 발표되면서 청약시장의 투기수요가 빠질 경우 신규 집단대출의 둔화 현상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양용화 KEB하나은행 PB사업본부 부동산센터장은 “청약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인기지역이 아닌 지방의 경우 미분양이 발생할 수 있다”며 “미분양 물량만큼 집단대출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관심은 가계부채 절감효과다. 단기적으로는 신규집단대출 감소에 따른 가계부채 절감 효과가 나타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대출수요가 은행권에서 2금융권으로 이동하거나 규제 지역에서 규제 외 지역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 때문이다.
임일성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금융연구실장은 “신규분양시장이 어느 정도 둔화될 것”이라면서도 “중장기적으로는 공급이 충분치 않은 상황에선 주택 수요가 (규제외) 다른 지역이나 (신규 주택이 아닌) 기존 주택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