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유안타증권은 9일 정보기술(IT) 업종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대통령 당선으로 극단적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실현되면 IT산업에 상당한 악영향이 발생하겠지만 극단 정책의 현실화는 쉽지 않은데다 원화 약세에 따른 수출 증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송명섭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IT 부문은 미국 대선 핵심 쟁점이 아니었고 트럼프가 IT 산업에 대해 구체적 정책을 밝힌 바 없다”면서도 “미국 고용 확대를 위해 미국 기업들의 현지 생산을 늘리려는 공약은 전세계 IT업계에 실질 타격을 줄 수는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보호무역 정책의 일환으로 트럼프는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들에 45% 가량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이럴 경우 애플 아이폰을 포함한 중국 생산 IT 세트 제품들의 생산 원가가 대폭 상승해 한국 IT 부품업체들에도 악영향”이라고 우려했다. 애플이 관세를 부담하거나 미국에 생산공장을 설립해 원가 부담이 높아지면 아이폰 가격 상승으로 판매량이 감소해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트럼프는 멕시코에서 생산돼 미국에 수입되는 제품에도 35%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공약을 걸었다”며 “한국 가전업체들은 멕시코 생산공장에서 TV 포함 생활가전 제품을 생산해 미국에 수출 중으로 관세율이 높아지면 수익성과 판매량이 지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중국의 IT제품 생산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극단적 보호무역 정책은 어렵다는 판단이다. 오히려 미국 IT 기업 이익률이 하락하고 수요 부진을 부를 수도 있어서다. 그는 “무디스 추정에 따르면 이러한 관세율 상승이 시행되고 해당 국가에서 보복에 나설 경우 미국 경제성장률은 2019년까지 4.6%포인트 감소할 전망”이라며 “실업률은 9.5%까지 상승하고 미 연방정부의 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60%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따라서 트럼프의 극단적 보호무역 정책공약은 당선을 위한 것일 뿐 미국 국익을 위해서라도 실제 시행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그는 “최악의 경우 IT기업 생산거점이 장기적으로 미국으로 이전한다 하더라도 전세계 IT 세트 업체들은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한국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부품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어 악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며 “초단기로는 달러, 엔, 위안화에 대한 원화 약세가 나타날 수 있어 한국 IT 업체들의 수출 증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