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6일 광역알뜰카드를 대고 버스에 승차하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
|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한 걸음씩 뚜벅뚜벅 내딛자 핸드폰 화면의 숫자가 서서히 올라간다. 5분 정도 걷자 683m을 걸었고 지금까지 78원이 적립됐다는 표시가 나타난다. 78원, 요즘 세상에 길에 떨어져있어도 주울까 말까 하는 돈이지만 걷기만 했을 뿐인데 이만큼의 돈이 쌓였다는 것은 신기한지 사람들의 눈이 핸드폰 화면에서 떨어지지 않았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일각에선 적은 액수라고 볼 수도 있지만 적극 활용하면 교통비를 30% 할인 받을 수 있는 만큼 서민들에게 꼭 필요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며 “일단 걷기만 해도 돈과 건강을 챙기지 않느냐”고 말했다.
오는 30일부터 교통비가 최대 30% 할인되는 광역알뜰교통카드가 세종시에서 처음으로 시범운영된다. 이어 오는 6월 전주·울산 등에서 시범운영을 거친 뒤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광역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해 국민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했다.
세종·울산·전주에서 상반기 시범운영…내년 본격 도입
| △광역알뜰교통카드와 연계된 마일리지앱. 이동거리와 이에 따른 마일리지가 표시된다. [사진=마일리지앱 캡처] |
|
16일 세종시에서는 본격적인 시범운영에 앞서 광역알뜰교통카드와 마일리지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시연식이 진행됐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해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공단, 기자단 등 관계자 50여명이 실제 광역알뜰교통카드와 마일리지앱이 깔린 핸드폰을 들고 세종정부청사 종합안내동에서 정부청사남측 간선급행버스(BRT) 정류장까지 걸어가 BRT를 타고 국책연구단지 A동까지 이동하는 코스였다.
교통비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이용자는 광역알뜰교통카드와 마일리지앱이 필요하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기존 권역별 환승할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보다 10% 할인된 금액으로 판매하는 월 44회 정기권이다.
세종시의 경우, 단거리 기본요금이 1150원이지만 정기권은 이보다 10% 할인된 4만 5540원에 판매할 예정이다. 장거리(기본요금 1550원)와 장·단거리를 22회씩 합친 혼합형 정기권도 각각 10%씩 할인된다, 전주·울산은 기본요금이 1250원으로 44회 정기권의 정가는 5만 5000원이지만 판매가격은 5만원으로 책정된다.
여기에 이용자는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해 광역알뜰교통카드 가격의 최대 20%까지 마일리지를 축적할 수 있다. 마일리지앱에는 자신이 걷고 있는지, 자전거를 타고 있는지 선택하도록 했다. 걷는 게 자전거를 타는 것보다 마일리지 적립률이 약 2배 정도 높다고 한다.
| △승·하차시 마일리지앱에 정류장에 붙어있는 큐알(QR)코드를 인식시켜야 한다. [사진=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
|
BRT 정류장에 도착해 승차하기 전에는 BRT 정류장에 있는 큐알(QR)코드를 인식시켜야 한다. 인식시키자 ‘승차 중’이라는 버튼이 뜬다. 하차할 때는 내린 정류장에 붙어 있는 QR코드를 또다시 인식시켜야 한다. 조작이 어렵진 않지만 마일리지를 적립받기 위해서 일일이 사전에 내가 ‘걷는지, 자전거를 타고 있는지, 버스를 타는지, 내리는지’ 인식시켜야 한다는 점은 번거로울 뿐더러 바쁜 현대인들이 이렇게까지 수고로운 일을 할 것 같지도 않다. 핸드폰 조작이 능숙치 않은 노년층 등은 어려울 수도 있다.
일부 앱의 경우, 이용자가 걷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는 현상도 나타났다.
이 점에 대해 교통공단 관계자는 “핸드폰 성능에 따라 GPS를 인식하는 속도가 다르고 (시범운영 기간인 만큼) 이용자의 행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가 직접 모드(mode)를 선택하도록 했다”며 “향후 GPS를 통해 이용자가 어떤 모드인지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원 마련이 과제…서울·경기 도입은 시간 걸릴 듯정부는 내년부터 광역알뜰교통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한다고 했지만 서울·수도권 등 전국으로 제도가 확산·정착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마일리지 적립에 따른 비용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비용을 50대 50으로 부담할 예정이다. 지자체의 참여 의지가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특히 서울의 경우 코레일, 서울매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등 대중교통 운영자들이 많고 이해관계도 복잡해 실제 도입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광역알뜰교통카드 할인비용은 교통카드사업자가 부담한다. 국내 교통카드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는 한국스마트카드와 롯데이비카드가 사업 참여의지를 밝혀왔다. 교통카드 사업자들은 선불카드를 구매한 후 미처 쓰지 못한 낙전수입이나 정기권 금융이자 등으로 영업이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외 정부는 직원들에게 교통카드 마일리지를 제공할 경우 교통유발부담금을 감면하거나 건강기금 활용, 공공기관 참여 확대 등으로 추가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방안도 발굴한다. 이 경우 할인폭은 30%보다 더 커질 수도 있다.
지자체 간의 연동성을 확보하는 것 역시 남은 과제다. 현재 광역알뜰교통카드는 지자체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세종에서 출발해 대덕 등으로 이동할 경우 사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역 간 이동에 따른 요금 정산을 어떻게 할 건지는 현재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