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인공지능(AI)이노베이션 센터장 겸 네이버 퓨처 AI센터장은 19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AI 머니게임: 한국이 나아갈 길’을 주제로 열린 ‘제11회 이데일리 글로벌 AI포럼(GAIF 2024)’에 연사로 참석한 자리에서 특정 국가의 언어, 문화, 역사, 가치관 등을 잘 이해하는 소버린AI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 센터장은 “AI가 문화적, 가치관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은 데이터 편향성에 있다”며 “연구개발, 비즈니스, 제조 등의 분야에선 크게 상관이 없지만 아이들에게 역사나 가치관을 잘 가르쳐야 하는 교육 분야라든지 공공, 국방, 법률 같은 분야에선 그 지역을 제대로 이해하는 AI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픈소스인 (메타의) 라마를 그냥 받아서 쓰면 되는 것 아니냐고 할 수 있지만 품질이 제대로 나오지 않거나 라이센스 리스크가 있고 통제 가능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도 알 수 없다”며 “그렇기 때문에 프랑스, 일본, 핀란드, 독일, 캐나다, 인도, 이탈리아 등에선 오픈소스도 사용하지만 자국의 AI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 단위 투자를 한다”고 덧붙였다.
|
한국의 AI 칩을 수출하기 위해 오픈소스 생태계를 활용하는 기업도 있다. 김홍석 리벨리온 최고 소프트웨어 아키텍트(CSA)는 파이토치에서 작동하는 AI 반도체를 제작해 사업을 키우고 AI 생태계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파이토치는 딥러닝을 구현하기 위한 파이썬 기반 오픈소스 머신러닝 라이브러리다. 리벨리온이 파이토치 생태계와 결합하면 리벨리온 AI 반도체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은 하드웨어의 세부사항을 몰라도 파이토치 인터페이스만 이해하면 되기 때문에 개발 작업이 훨씬 수월해진다. 성능 좋은 AI 서비스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의미다.
|
이한주 스파크랩 공동대표(베스핀글로벌 창업자)는 “우리는 제조업 기반 산업이 많은데 왜 유독 언어에만 집중할까라는 생각을 한다”면서 “건설업이든 제조업이든 콘텐츠든 해당 분야에 특화된 칩을 만들어 깊이 있게 집중해야 한다. 해당 분야의 업무 과정에서 어떤 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는지 열심히 들여다보는 것부터 시작하시라”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공개된 ‘알파폴드’라는 단백질 변형 예측 모델을 언급하면서 “알파폴드와 같이 산업에 특화된 부분, 파운데이션 모델 레이어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언어 특화 모델을 개발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언어와 관련된 모델만 고민하고 있을 때가 아니라는 얘기다. 빅테크와 상대했을 때 어떻게 해야 우리만의 성공을 갖고 올 수 있을지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