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전 의원은 이날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이데일리 퓨처스 포럼 강연에서 “지난 촛불 정국에서 많은 국민들이 이구동성으로 ‘제왕적 대통령제가 불행을 낳았다’고 입을 모았다”며 “그렇다면 새 정부 들어선 그 틀을 바꾸는 것이 가장 먼저 했어야 할 개혁”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최 전 의원은 “대통령 임기 5년 가운데 제대로 일 할 수 있는 시간은 3년뿐”이라고 했다. 현행처럼 5년 단임 대통령제와 양당 중심의 선거제도 하에선 장기적 계획 수립도 일관적인 정책 추진도 어렵다는 얘기다. 개헌을 통해 권력구조를 재편하고, 선거제도 개혁을 통해 전문성과 국민 비례성을 제고해야 한국 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한 정책 집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21대 국회도 개헌의 필요성엔 공감하고 있지만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지난 17일 박병석 국회의장은 2022년 대통령 선거를 1년 앞둔 내년까지가 개헌의 적기라고 강조했다. 미래통합당은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최 전 의원은 총 300명의 의원 정수(현행 지역구 253명·비례대표 47명)를 유지한다면, 150명은 비례대표 몫으로 두고 나머지 150명을 전국에서 뽑아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비례대표로 정치에 참여시켜 국가의 장래를 걱정하게 해야 한다”고 했다. 또 지역구 의원에 대해서도 “중대선거구로 조정하면 지금보다는 나을 것”이라며 “예를들어 서울 중남부권만 바라보는 정치인은 개선된 제도 하에선 서울시 전체의 문제를 보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