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코로나19보다 실업 폭증이 더 큰 문제입니다.”
브라질의 주요 저가항공사 아줄(Azul)의 존 로저슨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코로나19 확산세를 두고 이렇게 말했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다. 아줄은 브라질 항공업계에서 20% 가까운 점유율을 가진 대기업이다. 그럼에도 경제 여건이 취약한 신흥국으로서 한계를 절감하고 있는 것이다.
브라질은 인구(2억명 이상)가 많다 보니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한국보다 앞선 세계 9위다. 철광석, 구리 등 원자재 수출이 주요 먹거리다. 하지만 1인당 국민소득(8785달러·2018년 기준)은 1만달러에 채 못 미친다. 최근 금융위기 조짐에 헤알화 가치부터 폭락하는 신흥국의 약점이 도드라지고 있고, 이에 산업계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올해 1월말 이후 신흥국으로부터 빠져나온 증권자금은 950억달러(약 117조원)다.
-1.5%…신흥시장 첫 역성장 우려
코로나19 충격파가 신흥국으로 향하고 있다. 무려 69년 만에 첫 마이너스(-) 역성장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IHS마킷에 따르면 중남미 최대 발병지로 부상하는 브라질의 성장률 전망치는 -4.5%다. 문제는 브라질의 정책 여력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현재 GDP 대비 정부부채는 75.8%(지난해 말 기준)다. 2008년 금융위기(58.6%)와 비교해 17.2%포인트 급등했다. WSJ는 “신흥국은 특정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정부가 기업을 지원할 여력이 부족하다”며 “예컨대 브라질과 멕시코는 실업보험조차 없다”고 했다.
미국과 인접한 멕시코의 성장률 전망치는 -8.0%(뱅크오브아메리카 예측)에 불과하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930년대 대공황 이후 가장 가파른 침체 속도”라고 했다.
“신흥국 ‘투기등급’ 강등 줄이을듯”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몰린 아르헨티나는 코로나19 탓에 더 나락에 빠졌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현재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채권자들과 채무재조정 협상을 벌이고 있다. 미국 주요 싱크탱크인 윌슨센터의 벤자민 제단 연구원은 “아르헨티나가 디폴트에서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무디스는 최근 아르헨티나의 국가신용등급을 Ca로 두 단계 강등했다. 단계인 최하 C보다 한 계단 높은 자리다.
캐피털이코노믹스에 따르면 그나마 경제 사정이 나은 한국(-3.0%), 러시아(-1.5%), 터키(-2.0%) 등도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해 보인다. 브라질, 멕시코, 남아공, 아르헨티나보다 경제 여건이 더 나쁜 다른 빈국들은 구제금융 없이는 생존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남경옥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신흥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이 대두하는 상황에서 다른 중남미와 동남아 국가 등으로 신용등급 강등이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