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무드 바에지 이란 대통령 비서실장은 13일(이란시각) 밤 정부 홈페이지에 언론과의 인터뷰 기사를 올리고 한국 대표단이 이란에 동결자산 대신 구급차 판매를 제안했다며 “이란은 구급차가 필요없다”고 비난했다. 우리 정부와의 외교적 협상 내용을 일방적으로 공개한 것이다.
|
바에지 비서실장은 이 기사에서 “우리는 몇 대의 구급차가 필요한 게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한국에 묶여있는 돈을 원하며 (동결)이 해제돼야 한다”며 “한국 대표단은 이란에 와서 몇 가지 제안(comments)을 했지만, 이란 외무부와 중앙은행 관계자들은 분명하게 대응했다”고도 밝혔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최 차관이 (이란에) 가서 새삼스럽게 제안한 것처럼 보도가 됐는데, 이는 사실과 많이 다르다”고 반박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1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국과 이란 간에는 기존부터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인도적 교류의 확대가 바람직하다는 공감하에 다양한 방식들에 대해 협의가 진행돼왔다”면서 “이란 측으로부터 구급차를 도입하기를 바란다는 제안이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 대표단은 이란 정부에 한국의 은행들에 묶여있는 이란의 원유수출대금 대신 궁여지책으로 구급차, 코로나 백신 등 인도적 물품을 구입해 제공할 것을 제안했지만 거부당한 것이다.
그러나 당초 ‘창의적 방안’을 갖고 협상에 임하겠다던 정부가 이란 측을 확실하게 압박·설득할 카드를 준비하지 못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란 측의 이날 공개로 보면 최 차관 일행은 동결자금을 해제를 약속해 오히려 숙제를 안고 귀국하는 셈이 됐다.
한국과 이란은 지난 2010년부터 이 계좌를 통해 달러화로 직접 거래하지 않으면서 물품 대금을 결제해왔으나 지난 2018년 5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이란중앙은행을 제재 대상에 올리면서 이 계좌의 운용이 중단됐다.
한편 한국 국적의 화학운반선 한국케미호는 지난 4일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돼 현재(14일)까지 11일 째 억류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