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당은 다음 주인 27일부터 원내대표 선출 및 상임위 구성 등과 관련해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걱정부터 앞선다. 교섭단체가 아니라 상임위 구성에 목소리를 내기 힘들어 거대양당의 눈치를 봐야할 상황이다. 또 심 대표가 겸임하지 않는 이상 비례대표 초선 의원이 원내대표를 맡아야 하는데 카운터파트는 3~4선의 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의 중진 의원이 될 가능성이 크다. ‘초짜’ 의원으로서는 버거운 여건이다.
정의당은 어떻게든 지역구에서 재선 의원을 내 심상정 쏠림현상을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실패했다. 기대를 모았던 이정미(인천 연수을)·추혜선(경기 안양동안을)·윤소하(전남 목포) 의원 등이 모두 낙선하며 비례대표 초선으로만 채웠다. 20대에서는 고 노회찬 의원이 심 대표와 함께 ‘투톱’ 역할을 했으나 이번에는 짐을 덜어줄 만한 다선 의원이 없다.
정치권에서는 정의당이 민주당과는 정책적 선명성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당의 스펙트럼을 노동계에서 청년·여성·장애인·다문화 등으로 넓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정의당은 21대 국회에서는 민주당과 결이 다른 선명한 정책을 내세워야 한다”며 “지금은 노동 중심의 정당이라는 색이 강한 만큼 이를 벗어나 집권여당이 살피지 못하는 계층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대변해야 진보정당이자 대안정당으로서 목소리를 21대 국회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