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반도체 국산화 길 열려…文 “제2의 D램으로 키울것”
SK텔레콤(017670)(SKT)은 25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인공지능을 만나다’에서 자체 개발한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사피온(SAPEON) X220’을 선보이고,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선점에 본격 나서겠다고 밝혔다.
AI 반도체는 AI의 두뇌에 해당한다. AI 서비스의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 저전력으로 실행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다. 구글이나 알리바바는 자체 데이터센터용 AI칩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데이터센터에서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GPU가 데이터 분석과 처리를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니만큼, 연산과 추론 등의 작업을 처리하는 데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에따라 주요 IT 기업과 스타업들이 AI에 최적화된 반도체 개발에 관심을 기울있다. 최근 AI 서비스가 생활과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대되면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뿐 아니라 빠른 처리 속도가 요구되고 있어서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행사에 참석해 “(AI기술혁신의) 핵심 제품인 AI 반도체를 제2의 D램으로 키우겠다”면서 “지난 10월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했고, 2029년까지 1조원을 투자한다”고 강조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AI 반도체 시장은 2018 약 7조8000억원에서 2024년 약 50조원으로 연평균 36%의 가파른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반도체 시장은 기존 GPU 중심 시장에서 AI 반도체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밖에도 이날 행사에서는 지난해 AI 국가 전략 발표 이후 공공분야와 산업계에 접목된 AI 기술 성공 사례와 주요 기업들의 AI 전략도 소개됐다.
의료분야의 경우 ‘닥터앤서’를 이용해 평균 5년이 걸렸던 소아희귀병 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찾아내는 과정을 단 15분으로 단축시켰으며, 국내 중소기업 루닛이 개발한 폐질환 진단 AI는 세계 80개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AI 챗봇이 감염병 관련 정확한 정보의 전파와 확진자 관리 등에 활약한 것은 이미 유명하다.
KT는 선천적인 청각장애로 말을 하지 못하는 김소희씨에게 AI 기술을 이용해 목소리를 선물한 사례와 현대중공업과 함께 개발한 호텔 서비스 로봇과 서빙 로봇 등을 소개했다. 또 AI 기술력 강화와 생태계 조성을 위해 LG전자(066570), KAIST 등 9개 산학연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인공지능 원팀’을 통해 16개 과제를 선정해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네이버(035420)는 데이터샌드 박스를 연내 공개 및 개방하는 등 벤처·스타트업 기업의 AI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AI 로봇 기술 공개했다. 삼성전자(005930)는 세계 최고 수준의 AI 연구를 위해 한국을 비롯해 미국·영국·캐나다·러시아 등 7곳에 AI 센터를 설립해 기술 리더십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정부가 투자와 지원을 통해 적극적으로 AI 산업 육성에 나서 달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성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글로벌 아이티 시장이 클라우드와 인공지능을 갖고 10배 이상 성장하는 것에 비해서 아직 (국내) 시장이 크게 열리지 않고 있다”며 “디지털 뉴딜이 마중물 역할을 해주고 공공기관 적극 활용하면 충분히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