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새로운 노사 관계 정립을 요구하면서 모든 정부 부처와 노정 협의체를 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노사정대화도 업종별로 세분화하자고 주장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 총론을 다루는 조직 외에 별도로 이해관계자에 따라 1:1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최근 민주노총이 주장한 산업별 협의체 구성과 유사한 요구다.
특히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를 비롯해 직무급제 도입 등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강한 노총을 내걸고 당선된 김 위원장이 사회적 대화 등 향후 노정 관계를 어떻게 끌고 갈지 관심이 쏠린다. 다만 그동안 민주노총에 비해 대화와 실리를 강조해온 한국노총이 사회적 대화를 전면 거부하는 등 극단적인 투쟁노선에 선택하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
21일 한국노총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동호 사무총장과 조를 이뤄 전체 선거인단 3336명 중 3128명이 투표에 참가한 가운데 1580표를 받아 당선됐다.
이번 선거는 위원장·사무총장 후보로 김만재(금속노련 위원장)·허권(금융노조 위원장), 김동명(화학노련 위원장)·이동호(우정노조 위원장) 2개 조가 출마했다.
김 위원장은 “노조는 민원과 청탁을 하는 세력이 아니다”며 “정부의 (노동존중)정책 약속 이행 여부와 의지, 이행 일정, 수용 가능성 등을 파악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와의 불명확한 정책 연대를 다시 확인하고, 노동 존중사회를 위해 정부와의 관계를 새로 정립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또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는 한국노총의 위상을 새로 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더 이상 정부는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동을 들러리로 활용해선 안 된다”며 “노동이 주체로서 새로운 자리매김이 필요하다. 상생의 노사관계를 원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노총이 민주노총과 달리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정부가 이에 대한 정당한 대우를 해줘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당분간 노정관계 경색 예상…신임 지도부, 조직확대 최우선 과제로
이 사무총장은 전국우정노동조합 위원장 출신으로 지난해 집배원 과로사 철폐와 토요근무 휴무를 위해 우정노조 60년 역사상 최초로 총파업 투쟁을 선언하기도 했다.
강경 노선인 김 위원장의 당선으로 당분간 노정 관계가 경색될 우려가 커보인다. 그동안 한국노총은 정부와 주요 노동정책 파트너 역할을 해왔으나 민주노총에 제1 노총 자리를 내주면서 조직 내 기류가 바뀌었다. 김 위원장 또한 선거기간 동안 새로운 노정 관계를 요구하고, 타협 없는 강력한 투쟁으로 ‘노조할 권리’를 지켜내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말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8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 집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조합원 수는 96만8000명으로, 한국노총(93만3000명)을 처음으로 연간 단위 공식 집계에서 앞질렀다.
신임 한국노총 지도부는 조직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내걸었다. 김 위원장은 “조직확대에 예산과 인력을 집중하겠다”며 “산업별·지역별·업종별 노정협의회를 상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