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수위는 지난 12일 반도체 초격차 확보 방안에서 반도체 전문인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특성화 대학 지정을 통한 학생·교수 정원 확대, 인공지능(AI)·전력 등 분야별 반도체 대학원 신설 지정 등으로 석박사급 인력을 양성하는 안을 제시했다. 비전공 학생의 반도체 전공 전환교육 시행,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계약학과 확대도 논의하고 있다.
반도체와 함께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배터리에도 이들 방안이 확대 적용될 지 관심이 커진다. 배터리산업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속도를 인력 수급 속도가 받쳐주지 않으면서 인력난을 겪고 있다.
한국전지산업협회가 실시한 조사에서 2020년 말 기준 배터리 석·박사급 연구 설계인력은 1013명, 학사급 공정인력은 1810명 각각 부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배터리 산업 전체 인력 부족률은 13.3%로 차세대반도체·신금속·차세대세라믹·첨단화학·하이테크섬유 등 5대 신산업의 평균 인력 부족률 2.5%에 비해 크게 차이 난다.
|
이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발표한 공약에서 배터리를 비롯한 신산업 분야의 연구개발(R&D)와 세제 지원 확대, 전문인력 양성 확대 등을 언급했다. 청정에너지인 배터리 분야를 집중 육성해 세계 3위권 내 기술 강국으로 만들겠다고도 했다. 안철수 인수위원장도 대선 후보 시절 서울 마곡에 있는 LG에너지솔루션 R&D캠퍼스를 직접 방문해 배터리산업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말 인수위 업무보고에서 6대 미래 유망산업에 배터리를 포함시켰고, 이들 유망산업에 대한 향후 지원 방안을 다룬룬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만 인수위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논의가 있겠지만, 지금으로서는 (배터리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별도로 발표하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