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10대책에서 이미 대략적인 윤곽은 나온 상태다. 정부는 당시 △고밀도개발을 위한 도시계획 규제개선 △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 △도심유휴부지 및 국가시설 활용한 신규택지 추가발굴 △공공재개발·재건축 공급 확대 △도심 내 공실 상가·오피스 활용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지난 13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경제부총리 주재 공급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중앙부처, 지자체가 함께 도심 고밀도 개발, 도심 부지 활용, 공공 관리형 재건축·재개발 등 (주택 공급)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3기 신도시(남양주 왕숙·하남 교산·인천 계양·고양 창릉·부천 대장) 용적률 상향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현재 이들 주거지역 용적률은 180~200%인데 이를 수도권 택지 법정 상한 용적률인 220%까지 올리는 방안이다. 이 경우 공급 물량은 기존 17만3000가구에서 추가로 5만가구 더 늘어날 수 있다.
서울시 유휴철도부지 활용 방안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개화(37만9683㎡) 구로(25만3224㎡) 창동(18만1819㎡) 수색(17만2000㎡)등이 거론된다. 앞서 서울시와 국토부는 용산 정비창 부지에 8000여가구를 공급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2013년 국토부가 행복주택 공급부지 확보를 추진했으나 주민반발로 무산됐던 송파구 잠실과 탄천 유수지, 양천구 목동 유수지 등도 재부각되고 있다. 강남권에 있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옥을 이전한 뒤 공공주택을 짓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정부가 재건축과 재개발도 신경쓰겠다고 한 상황에서 최적의 방안은 그간 언급해 온 공공재개발·재건축을 꼽을 수 있다”면서 “다만 수익성 등을 고려했을 때 사업성이 좋은 사업지의 경우 이를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