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 부총리는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제13회 케이비즈(K-BIZ) CEO 혁신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의 대응’을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전 분야에 파괴적 영향…선진국도 고용영향 예측 어려움”
홍 부총리는 4차 산업혁명은 1~3차 산업혁명 때와 달리 주기가 훨씬 빠를 뿐 아니라 경제 영역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 문화 등 전 분야에 파괴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했다.
일례로 과거 한 기업이 창업 후 시가총액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 달성을 뜻하는 ‘유니콘’이 되려면 20~30년이 걸렸으나 승차공유 회사 ‘우버’는 2~3년 만에 달성했고 최근 미 실리콘밸리의 전동 스쿠터 공유회사 ‘버드’는 불과 1년 만에 입성했다.
또 모든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가 필수 요소가 되면서 GM이 승차공유 기업 리프트를 인수하고 GE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하는 등 전통의 제조업도 변화를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
“데스밸리 넘는 기업 30%뿐…기업 성장·회수 최대한 지원”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는 우리의 해법 중 하나로 창업 활성화를 꼽았다. 창업 열기가 넘쳐나는 한국판 실리콘밸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특히 올해 창업-성장-회수-재도전이란 선순환 구조 중 성장과 회수 부문에 지원에 초점을 맞춘다.
홍 부총리는 “(투자금을 소진하는) 데스 밸리를 넘는 기업이 30%밖에 안 되고 창업자 수익을 회수해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출구전략(exit strategy)도 미국과 비교해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올해는 여기에 방점을 두고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가운데 산업수학이나 양자컴퓨팅, 뇌과학 같은 기초과학연구 지원이나 개인정보 유출 걱정 없는 비식별 조치화를 통한 공공 부문의 빅데이터 개방, 관련 인재양성 등 인프라 구축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정부 차원의 규제 해소 노력도 약속했다. 정부는 이달 각종 입지 규제에 막혀 있던 현대자동차(005380)가 국회 내 수소자동차 충전소 운영 실증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줬다. 이를 시작으로 버스 내 LED 광고판 부착,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기 등에 대한 실증·시범사업도 속속 허용된다. 이른바 규제 샌드박스다. 홍 부총리는 “올 4월이면 핀테크(금융) 부문에서도 시작하는데 벌써 105건 신청을 받았다”며 “2~3월 충분히 검토해 4월 중 허용 여부를 결론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 과정에서 기존 이해관계자와의 상생이 전제 조건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 부총리는 “기존 이해관계자의 반대를 고려하지 않고는 신산업 도입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마음껏 서비스를 활성화하면 좋겠지만 속도가 잘 나지 않더라도 이해가 엇갈리는 부분에 대해선 사회적 합의, 대타협이 더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