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의원은 26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여기서 도전을 멈출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제게 주어진 여러 개혁의 과제는 끝까지 완수하겠다”며 서울시장 후보 사퇴 의사를 밝혔다. 현재 박 의원은 검찰의 수사·기소권을 분리하는 `검수완박` 법안 처리 최전선에 서 있다. 국민의힘의 중재안 합의 파기로 전날에 이어 이날까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시끄러운 마당에, 서울시장 경선 후보 토론과 정견 발표 등 배려 없는 경선 일정은 박 의원을 결국 포기하게 만들었다.
당내 의원조차 레이스를 그만두게 한 비대위 욕심의 시작은 서울을 `전략 선거구`로 지정한 데서부터다. 비대위는 경선을 더욱 흥행시키기 위함이란 명분을 제시했으나 사실상 당내 `비토` 여론이 컸던 송 전 대표를 밀어내고 제3의 인물을 찾기 위한 결정이었다는 일각의 비판을 면치 못했다. 비판의 목소리에도 전략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는 송 전 대표와 박 의원을 각각 대선 패배 책임과 부동산 문제로 `공천 배제`(컷 오프) 결정을 내렸지만 비대위는 당 권리당원과 지지자들의 반발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두 후보의 공천 배제를 최종 철회했다.
출발선에 선 이틀째, 이번엔 `경선 일정과 룰`이 문제가 됐다. 당초 비대위에서 의결한 일정상으로는 의원직 사퇴 일정과 맞지 않아 국회 1석을 1년간 공석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더불어 시민들이 어떤 후보자가 적합한지 알 수 있는 기준이 되는 TV 토론 일정 또한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불만을 터뜨린 후보들은 `원샷 경선`과 `TV 토론 횟수 조정` 등을 요구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듯` 비대위는 일방적으로 제시한 뒤 문제가 터지고 나서야 늘 봉합하는 수순이다. 2파전으로 좁혀진 경선에 비대위는 또다시 경선 룰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1차 경선과 결선이 무의미해졌기에 사퇴하기 전 박 의원이 주장했던 `원샷 경선`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상처만 남긴 채 2파전으로 좁혀진 서울시장 경선이 과연 비대위가 바라던 바였던 것인지, 지방선거 승리를 운운하며 원팀보단 균열에 앞장 섰던 비대위의 발걸음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