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용차는 28일 공시를 통해 에디슨모터스에 인수합병(M&A) 투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에디슨모터스가 인수대금 예치시한인 지난 25일까지 잔여 인수대금 예치의무를 이행하지 못함에 따른 것이다.
쌍용차는 지난해 4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돌입했다. 에디슨모터스는 같은 해 10월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지만 이번 계약 해지로 쌍용차의 회생절차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날 쌍용차는 새로운 매각자를 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와 산업은행이 쌍용차에 공적 자금을 투입하는 데 부담을 안고 있다는 점도 요인이다. 이동걸 회장 체제에서 산은은 여러차례 에디슨모터스 측의 자금지원 요청에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쌍용차의 존속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높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쌍용차의 청산가치는 9820억원인 반면 쌍용차의 계속기업가치는 6200억원에 불과해 산은이 나설 명분이 약하다는 것이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쌍용차에 걸려 있는 일자리 등이 현 정부와 새 정부 모두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일자리 유지에 비중을 두고 있는 새 정부도 명확한 솔루션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며 “지자체가 토지 혜택 등으로 쌍용차가 자생할 수 있는 안을 만든다고 해도 쌍용차가 구조조정 없는 자생안을 견지하고 있어 적자를 면할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파산은 막아야…쌍용차 ‘자생력’이 열쇠”
이어 이 위원은 “쌍용차 근로자들과 협력업체들이 끌고 가겠다고 의사를 표한 건 간접적으로 정부의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풀이된다”며 “한국지엠 사례 때 대책 태스크포스(TF)가 있었는데 쌍용차에 대해서도 TF를 구성해 노사민정 모두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야 할 건 쌍용차의 ‘자생력’ 확보다. 쌍용차는 전기차와 새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출시를 앞두고 있고 해외 투자와 수출을 확대하고 있어 지난해 6월 M&A 당시보다는 회사 상황이 낫다고 보고 있다. 그러면서 더 경쟁력 있는 인수자를 찾을 수 있다는 기대를 내비쳤다. 이 위원은 “SUV 전동화가 빨라지는 시점이라 쌍용차가 ‘돈’ 문제 빼고 불리할 건 없다”며 “과거 경쟁사보다 디젤도 잘 만들었고, SUV에 대해서도 강점을 가진 회사이기 때문에 이번 위기를 넘기면 해외로도 확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도 “앞서 쌍용차 노사가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는데 경영진이 이를 다시 살펴보고 보완한 후 인수자를 물색해야 할 것”이라며 “현재 중동과 중국의 몇몇 업체가 관심을 보인다고 들었는데, 미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수자가 나와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시장만 가지고 판매를 늘리긴 쉽지 않아 미국에 10만대 이상 수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인수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쌍용차가 탄탄한 인수자를 확보해야 금융권이나 산은이 지원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