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둥성의 부동산 개발사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은 잇단 투자자들의 시위로 이미 본사 앞 도로가 폐쇄된 상태였다. 회사측은 추가 도발을 걱정해 보안 확충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비구이위안 같은 부동산 대기업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가 ‘그림자 금융(비은행 금융상품)’의 부실 우려로 확산하고 있다. 이제는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금융시장 불안까지 염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불경기에 기업들 속속 위기…속타는 투자자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1조위안(약 182조7000억원)대 자금을 굴리는 중국 대형 자산 운용사인 중즈(中植)그룹은 투자자들에게 “부채 구조조정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종합 회계 감사를 위해선 4대 회계법인 중 한곳인 KPMG를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즈그룹은 ‘중국의 블랙스톤’으로 불리는 대규모 자산운용회사지만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를 견디지 못해 투자상품 지급을 정지하는 등 유동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즈그룹 계열사인 중룽신탁은 최근 진보홀딩스·난두물업·셴헝인터내셔널 등 3개 기업과 연관된 상품의 만기 지급을 연기했다. 금액으로는 3500억위안 (약 63조9000억원) 규모다. 중즈그룹 또한 지난달 중순부터 거의 모든 투자상품에 대한 지급을 미루기로 결정했다.
중국 부동산이 호황일 때는 높은 수익을 보장하며 가계와 기업으로부터 대출을 받고 관련 상품에 투자했다. 중룽신탁 역시 투자자들에게 은행 이자보다 높은 연 7% 가량의 수익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데 중국 부동산 경기가 급속도로 위축되면서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이 큰 그림자 금융이 직격탄을 맞아 중즈그룹 같은 대기업도 구조조정 처지에 놓인 것이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부진을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1~7월 중국 부동산 투자는 전년동기대비 8.5% 감소했다. 중국 70개 주요 도시의 지난달 신규 주택 가격은 전달보다 0.2% 내려 시장 전망치(0.3% 상승)을 크게 밑돌았다.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면서 2021년에는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가 파산 위기를 겪은 바 있다. 올해는 헝다보다 더 큰 규모의 비구이위안과 국유업체인 위안양도 디폴트에 내몰렸다. 두 개 기업이 최근에 상환하지 못한 채권 이자는 각각 2250만달러(약 302억원), 2094만달러(약 281억원)에 달한다.
|
◇신탁 업계, 부동산 익스포저만 402조원 규모
블룸버그는 “중국은 이미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인데 대기업들이 채무불이행에 빠질 위기에 놓였다”며 “시진핑 정부로서는 이보다 나쁜 타이밍이 있을 수 없는 것”이라고 지목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공산당 이론지 추스(求是)는 올해 2월 7일 한 회의에서 있던 시 주석의 연설을 공개해 배경에 이목이 쏠렸다. 시 주석은 당시 ‘다 함께 잘 살자’는 의미의 중국 정부 원칙인 공동부유(共同富裕)를 다시 언급하며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는 서방을 중심으로 나오는 중국 위기론에 흔들리지 말라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정부가 앞으로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꺼내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중국은 15일 정책금리를 인하하며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부동산 경기 회복을 위한 추가 부양책은 내놓지 않고 있다. 리창 총리도 16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소비 확대·투자 촉진 방침을 밝혔지만 구체적 정책은 담기지 않았다.
추가 부양책이 없을 경우 앞으로 부동산 문제는 더 악화될 수 있다. 데이터 제공업체 유즈트러스트에 따르면 중국에선 지난달말까지 440억위안(약 8조1000억원) 규모의 106개 신탁 상품이 부도 처리됐다. 이중 부동산 투자가 74%를 차지했다.
신탁 업계의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작년말 기준 약 2조2000억위안(약 402조원)에 달한다. 최근 위기에 놓인 중룽신탁만 해도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고수익 상품은 총 395억위안(약 7조200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