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우선 내년 상반기 중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백신개발을 하고 있는 국내기업은 SK바이오사시언스, 제넥신, 유바이오로직스, 진원생명과학 등 7개사가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현 시점에서는 지난 6월 임상 3상 시험계획 승인을 신청한 SK바이오사이언스(SK바사)의 백신이 될 가능성이 유력하다.
SK바사 백신은 단백질합성항원 방식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주류라고 할 수 있는 모더나·화이자의 mRNA방식과는 다르다.
특히 mRNA 백신의 경우 개발이 더욱 어려울 것이라는 게 의료계 반응이다. 원천기술이 필요한 분야일뿐만 아니라 관련 특허만도 수백가지에 이르기 때문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mRNA 백신은 관련 특허만 300가지 이상으로 알고 있다”며 “개발에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특허 회피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에 대해 특허청을 중심으로 특허회피전략을 짜고 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mRNA 백신 개발을 위해서는 원천기술이 필요하다”며 “특히 해외기업의 특허를 피하면서 독자기술개발을 위해 특허청 중심으로 적극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美 정부 모더나에만 3조 투자했다는데
정부는 세계 5대 백신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2026년까지 2조20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보한 2000억원을 제외하면 연 5000억원 수준이다. 백신개발에 필요한 여러가지 비용을 감안했을 때 규모가 작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모더나에만 약 3조원을 투자한 것을 비롯해 코로나19 백신개발에 180억달러(약 20조4100억원)를 투입했다.
김만수 기획재정부 혁신성장추진기획단 팀장은 “2조2000억원은 민간투자와 공공자금 등을 제외한 순수한 재정투자 규모로 결코 작은 수준은 아니다”라며 “지방비 배정이나 융자 및 펀드 등 금융지원, 예비타당성 사업 총사업비까지 포함하면 백신허브 구축 지원규모는 훨씬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백신개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임상인원 확보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3만명의 임상실험을 하려면 검사비와 참여비 등 천문학적인 비용이 필요하다”며 “이를 민간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는 어렵다.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英·獨 등과도 국가가 협력 강화
정부는 글로벌 생산협력 강화를 위해 기존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등과 협력도 강화한다.
글로벌 백신 허브 기반을 신속히 구축하기 위해 △생산역량 확충 △차세대 백신 신속 개발 △국산 백신 글로벌 진출 △백신산업 생태계 조성 등 4가지 중점과제에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백신 개발· 생산을 위한 핵심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해 세제 혜택을 강화하고, mRNA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생산기반 구축 및 양산·품질관리 지원을 확대한다.
아울러 백신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자립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투자유치 촉진을 위해 백신·원부자재 투자 지역은 첨단투자지구로 우선 지정을 추진하고, 관련 투자 유인을 확충키로 했다.
특히 다양한 변이바이러스에 사용할 수 있는 다가·범용 백신, 신속제작 가능 백신 플랫폼 확보와 함께 고부가가치 백신과 탄저백신과 같은 민간기피백신 등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