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대부분의 의대가 내년까지 ‘3학기 연속’ 휴학을 금지하는 학칙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꼽힌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체 의대 40곳 중 37곳이 이런 학칙을 운영 중이다. 교육부가 휴학 승인을 대학에 맡겨도 내년에는 학칙에 따라 학생들이 복귀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동맹휴학’ 전선을 느슨하게 만드는 변수가 될 수 있다. 실제 전날 이주호 부총리와의 영상 회의에 참여한 대학 총장들은 “학칙상 1회 휴학 기간은 최대 2개 학기이기에 2025학년도 학생 복귀에 큰 어려움은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오히려 의대생들이 복귀한 내년부터가 문제다. 올해 예과 1학년 약 3000명과 내년 신입생 4500명이 함께 수업을 듣는 초유의 사태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한 학년 학생 수가 2배 이상 늘어나면 교육 여건 악화가 불가피해서다.
교육부가 의대생 휴학 승인을 대학에 맡긴 것도 이 때문이다. 대학별로 내년에 복귀할 인원이 얼마인지 가늠해야 교육과정을 수립할 수 있어서다. 교육계 관계자는 “끝까지 수업을 거부하고 복귀하지 않는 의대생은 학칙에 의해 제적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의대 예과 교육과정 단축안은 이런 상황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거론된다. 예과 2년 과정을 1년 6개월로, 한 학기 단축하는 방안이다. 올해 1학년 학생들의 예과 4학기를 3학기로 줄이면 실습 위주인 본과(3~6학년)에서 두 학번이 겹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 국립대 의대 학장은 “학내에서 예과 4학기를 3학기로 단축하자는 제안이 나왔다”고 했다. 교육부도 “대학 선택에 따라 의대 교육과정 단축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한 사립대 의대 학장은 “일부 대학은 예과 1·2학년 때 전공을 배우고 있어 교육과정 단축은 어렵다”며 “제일 좋은 방법은 올해 의대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재조정은 실질적·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