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1일 구윤철 기획재정부 제2차관 주재로 ‘수소시범도시 확장 및 발전방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사업 주체인 국토부, 산업부, 환경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등 관계 기관과 민간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2017년 1월에 발표된 매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1292억달러 수준의 세계수소시장은 매년 6% 정도 성장해 2050년이 되면 2조5000억달러 규모로 발전할 전망이다. 이미 유럽국가들도 ‘2050년 탄소에너지 배출 제로’를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수소가 있다.
정부는 2018년 8월 수소경제를 혁신성장 3대 전략투자 분야 중 하나로 선정하고, 2019년 1월에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수립해 본격적인 재정투자와 규제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구 차관은 “로드맵도 필요하고, 중장기계획도 중요하지만 국민들께서 실제 생활에서 피부로 느끼고, 그 필요성을 체감해야 계획을 실행하는데 강력한 동력이 장착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 차관은 수소도시 추진과 관련한 우려로 사업규모가 너무 작아 수소경제를 견인하거나 시민이 충분히 체감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을 꼽았다. 아울러 수소차·연료전지 부문은 세계적 수준이지만 수소를 생산하고 운송하는 기술은 떨어지고 있는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것도 지적했다.
그는 “3개의 수소시범도시는 어떻게 보면 ‘작은 시작’ 일 수 있지만,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는 중장기 로드맵의 성공을 위한 큰 발걸음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화석연료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가 대부분인데, 미래에는 물 전기분해 등을 활용해 깨끗한 수소를 더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능력이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 차관은 “수소경제가 ‘한 차례의 유행’처럼 끝나지 않고 수소가 미래 주력 에너지로 발전할 것을 확신한다면 정부재정과 민간자원 등 국가의 가용자원을 ‘핵심기술 선점과 기반 조성’ 부문에 집중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