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연건동 서울대병원 융합관에서 열린 ‘의료개혁, 어디로 가는가’ 토론회에서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은 “의료개혁이 완성되면 어디에 살건, 어떤 병에 걸리건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려는 게 목표”라며 “이상적으로 들릴 수 있겠지만 지금 상태로 지속한다면 지역의료는 결국 포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에 이날 토론회를 주최한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의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우리나라 의사 수가 OECD 평균에 비해 적지만 우리나라 평균 수명이 3년 길고 사망률도 낮아 의사가 부족하다고 할 수 없다”면서 “의사가 필요한 곳에 갈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장 수석은 의사수급문제를 정부의 책무라고 봤다. 장 수석은 “의사들이 현장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지만 수급은 정부의 권한이라기보다 책무”라며 “김대중 정부 시절 의약분업을 하면서 의료계와 타협해서 의대 정원을 줄였다. 만약 그때 (의대 정원) 351명을 줄이지 않았다면 지금 이렇게 논의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강 위원장은 “국내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세계 최고최대 수준일 것”이라며 “그들이 현장을 떠난 건 소송부담과 저수가, 배후진료 문제다. 그들이 돌아오게 해야 문제가 빨리 해결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의대 휴학 승인에 대해서는 더 큰 시각차를 드러냈다. 장 수석은 의대생들의 휴학에 대해 개인적인 이유에 기인한 것이 아니므로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장 수석은 “일부 학생들이 휴학은 권리라고 하는데 휴학은 권리가 아니다”라며 “고등교육법령상 휴학은 교육과정에 등록한 학생이 입대나 질병, 어학연수나 가족의 이사 이런 개인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사유가 생겼을 때 신청하고 학교에서 승인해주는 것이다. 현행 의대생들의 ‘동맹’ 휴학은 법령상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어느 순간 정부 정책에 반발해 일시에 모든 학생이 승인 불가능한 휴학을 내는 건 개인적인 사유라고 보기 어렵다”며 “학교는 교육을 이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의대생을 포함한 의료계는 휴학은 학생들의 당연한 권리이므로 교육부가 학생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강 위원장은 “(고등학교로 따지면) 봄, 여름에 못 다녔는데 10∼11월부터 시작해서 그 학년을 마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냐”라며 “불가하다”고 말했다.
양측은 이날도 공감보다 이견을 더 많이 보였지만 첫 대화의 장을 만든 것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장 수석은 “희망의 싹을 봤다”며 “앞으로도 의료계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어렵게 싹튼 희망의 싹을 틔우고 결실을 맺었으면 하는 심정”이라고 말했다. 강 교수도 “서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를 지켜본 오주환 서울대 교수는 “대화라는 걸 해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높이 평가했다. 이날 일부 의사단체에서는 정부와 대화하면 안 된다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현장에서는 일부 교수의 성난 목소리로 토론회 차질이 빚어지기도 했다. 오 교수는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며 “앞으로 추가 대화를 통해 해법을 모색해나가는 기회를 만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장 수석은 토론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재논의를 테이블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말 자체가 거짓말”이라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해, 의료계의 의대증원 철회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