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현재 추진중인 한·일 통화스와프가 달러 베이스 양자교환(자국통화와 달러 교환) 방식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 달러를 통한 통화스와프가 사실상 없는 상황에서 미국 금리인상 및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충격이 커져 외환시장 불안이 확대되더라도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안정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송인창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차관보·사진)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한·일 통화스와프 관련해 일본 재무부와 규모와 시기 등 협의를 계속 하고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자국 통화를 주고 달러를 받는 달러베이스 교환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달러 베이스 스와프는 외환위기 등 비상시 한국은 원화를 일본에 맡기고 달러를 받고, 반대로 일본은 엔화를 우리에게 주고 달러를 빌려가는 방식이다. 반면 중국·호주 등과 스와프는 상대국 통화를 주고 받는 자국통화와 원화 간 협정으로 이뤄져 있다. 치앙마이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협정은 달러베이스로 이뤄져 있긴 하지만 실제 자금을 이용하려면 다수 회원국의 동의와 국제통화기금(IMF)과 협의가 필요해 상대적으로 이용이 쉽지 않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위기가 발생할 때 한일 통화스와프가 현실적으로 활용가능한 카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는 원-엔 간 직접 교환방식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송 차관보는 “현재 협상이 기재부와 일본 재무성 간에 이뤄지다보니 엔화를 관리하는 일본은행(BOJ)가 배제돼 있다”면서 “BOJ가 협상에 나서면 원화 베이스 교환 거래도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엔화도 주요 국제 통화로 달러베이스 스와프와 원-엔 직접교환방식 효과는 실질적으로 차이가 크지 않다는 평가도 있다. 다만 중간에 달러를 바꾸는 과정을 거쳐야 해 거래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는 게 단점이다.
앞서 미 재무부는 15일 발표한 환율보고서에서 한국을 ‘관찰대상국’으로 재지정하며 외환시장에 대한 제한적 개입 등을 한국 정부에 요구했다. 이 때문에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격하게 움직여도 정부가 시장 개입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