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김의진 기자] 고교학점제를 시범 적용 중인 충남의 A고교는 지난 학기 선택과목 교사를 구하지 못해 애를 먹었다. 농어촌 학교라 외부 전문가를 추천받아도 오려는 이가 없는 탓이다. 이 학교 교사는 15일 “학생들의 관심이 많아 심리학 교과목 신설을 추진했지만 결국 교사를 구하지 못했다”며 “기존 교사 중에는 심리학 전공자가 없을뿐 아니라 석·박사급 외부 강사를 초빙하려 해도 거리가 먼 농촌까지 오려는 전문가가 없다”고 토로했다.
오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둔 교육계의 가장 큰 걱정은 지역 간 격차다. 고교학점제는 진로·적성에 따라 학생이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 요소다. 학생이 선택할 과목이 다양하게 개설돼 있어야 학점제 취지를 살릴 수 있다. 하지만 학교별로 개설 가능한 과목에 제한을 받는다는 점이 맹점으로 꼽힌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적성·진로에 따라 선택 가능한 과목이 되도록 많이 개설돼야 학점제 취지를 살릴 수 있다. 예컨대 간호사를 꿈꾸는 고등학생이 고교 때 ‘공중보건’을 이수하고 이를 진로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학교·지역별로 개설 가능한 선택과목에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교육부는 온라인 공동 교육과정 등을 확대해 이런 문제점에 대응할 방침이다. 하지만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집중력이 저하된다는 점은 지난 2년간 팬데믹을 거치며 확인되고 있다.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전 기초학력 부족 학생들을 위한 대책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상위권 학생을 중심으로 한 심화 교육과정 개설도 중요하지만 시골·지방학교의 중하위권 학생들을 위한 기초교과 개설도 중요하다”며 “지역 내 인접 학교들이 연합해 전문교과 교사를 공유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