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사람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층간소음 관련 사건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작은 갈등에 그치기도 하지만 강력범죄로 발전하는 경우도 더러 있어 정부도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소음 측정 등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아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층간소음 민원 신고건수는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해 지속 증가하다 올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1월 기준 서울시 콜센터·온라인에 접수된 층간소음 민원은 1122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27%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층간소음 민원이 가장 많았던 자치구는 송파구(228건), 강남구(203건), 노원구(202건)로 나타났다.
|
코로나19 이후 심각해지는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와 정부는 묘안을 찾고 있다. 서울시는 층간소음 전담 갈등해결지원단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서울시 조례에 따라 아파트마다 설치하도록 돼 있는 ‘층간소음관리위원회’ 대상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부는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를 운영하면서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층간소음관리위원회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민원을 직접 처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소음 민원을 112에 신고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 구청에 소음 측정을 요청하기도 한다”며 “하지만 협조가 잘 이뤄지지 않고 소음이 발생하는 순간을 포착해야 해서 층간소음을 판별하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층간소음 전담 기구가 마련된 지자체가 많지 않다”며 “층간소음이 더 큰 범죄로 나아가는 걸 막기 위해 현장상담을 진행하기도 하지만 실제 범죄를 예견하긴 쉽지 않은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