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미국과의 코로나19 백신 스와프 논의에 대해 “다각적으로 논의 중이지만 현재까지는 설명할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한·미 백신 스와프에 대해 “미국 측과 상당히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면서 “지난주 존 케리 미 대통령 기후 특사가 (한국에) 왔을 때도 이 문제에 관해 집중적으로 협의를 했다”고 말했다.
한·미 백신 스와프는 작년 12월 박진 국민의힘 의원이 처음 제안한 것으로서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코로나19 백신 물량을 긴급지원하면 우리나라 제약사들이 미국 기술을 도입해 국내에서 생산한 백신을 되갚아주는 것이 골자다. 그러나 당시 질병청에선 “미국·영국 등 국가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을 차용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미국과 영국의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해 현실성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미국의 백신 사정이 개선됐다고 판단하는 지금 정부는 이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은 성인의 절반 이상인 1억 3000만명이 1회라도 코로나19 백신을 맞았고 3분의 1은 접종을 마치는 등 접종이 상당 수준 진행됐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5일 전 세계 백신 지원 업무를 담당할 백신외교 책임자를 임명하는 등 최근 미국은 백신 공급 확대를 위해 더 큰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미간 스와프가 이뤄진다면 아스트라제네카를 공급받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이미 한국에서 생산되고 있어 부족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백신 스와프가 의미를 가지려면 30대 미만이나 75세 이상에게 접종할 수 있는 백신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다각적으로 논의 중이지만 현재까지는 설명할 내용이 없다”며 “협상에 진전이 있으면 그 때 설명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