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국회에 따르면 내년도 예산안 처리 법정시한을 하루 앞둔 이날 오후 여야정이 최종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회의에 들어갔다. 이날 여야는 604조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 처리와 관련해 세입예산을 4조원 이상 증액하고, 세출예산을 5조원 이상 감액하기로 했다. 다만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맹성규 의원은 지역화폐 예산에 대해선 “세부적으로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초 지역화폐 갈등의 핵심은 재정 규모가 아니었다. 지자체 사무인 지역화폐 사업에 정부가 어디까지 국고를 지원해야 하는지가 쟁점이다. 민주당은 코로나19 시국에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지역화폐 발행액을 대폭 늘리고 국고보조율도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여당은 지역화폐 발행액을 최대 30조원까지 발행할 것을 요구했다.
반면 기재부는 지역화폐가 ‘지지체 사무’라는 입장을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 등을 감안해 2022년까지 3년만 한시적으로 지역화폐 할인 비용을 지원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3년 한시 지원에 따라 통상 10% 수준으로 할인해 판매하는 지역화폐의 할인폭 중 4%는 중앙정부가, 나머지 6% 가량은 지자체가 부담하게 됐다.
|
특히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올해 소비 등 경기 개선 흐름이 보이는 상황에서 내년에는 확장적 재정을 일부 정상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풀었던 허리띠를 졸라매듯이 경기회복기에는 풀렸던 재정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화폐 효과를 놓고 반론이 있는 것도 재정당국이 고민하는 부분이다. 앞서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지역화폐 도입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최종보고서에서 “거의 모든 지자체가 지역화폐를 발행함으로써 소비 진작 효과가 상쇄돼 가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도 지난달 5일 국회 예결위에서 지역화폐 관련해 “초기에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지만, 지금은 전국이 다 똑같이 하니까 많이 쓰는 사람에게 혜택이 가는 역진적 현상도 있다”고 꼬집었다. 상당수 지자체에서 지역화폐를 사용하면서 부작용도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지역화폐를 놓고 정부를 압박하기보다는 실증적인 정책효과 분석을 할 것을 주문했다. 박상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지역화폐가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여부와 소상공인 직접 지원과 비교했을 때 어느 것이 효과가 있느냐의 문제는 증거를 기반으로 판단해야 하는 실증적인 문제”라며 “정책 수단에 대한 논의인 만큼 지나치게 정치화되는 것은 곤란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