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31일 이사회를 열고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주주환원’ 정책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번 주주환원 정책의 골자는 △배당 대폭 확대 △ 잉여현금흐름(FCF·Free Cash Flow) 계산 시 M&A(인수합병) 금액 미(未) 차감 △FCF 50% 환원 방침 유지 및 기존 1년에서 3년 단위로 변경 적용 등 세 가지다.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중심의 기존 주주환원 정책과 달리 현금 배당을 두 배 이상 대폭 늘린 점이 특징이다. 또 향후 업황에 관계없이 배당 지급을 약속해면서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M&A 자금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M&A 자금 뺀 FCF 50% 환원…매년 9.6조 규모
삼성전자는 이번 주주환원 정책에서 주주들이 회사의 환원 규모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이상훈 삼성전자 경영기획실장(사장)은 이날 컨퍼런스콜(다자간 전화회의)에서 “주가가 지난 2015년 초 대비 두 배 이상 상승한 상황에서 주주환원 정책의 중심을 배당에 두는 것이 주주가치 제고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며 “아직도 당사 주가가 글로벌 기업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고 생각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안정적인 배당정책이 유지된다면, 이에 상응하는 기업가치 상승으로 인해 총 주주 가치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주주환원 정책의 세부 내역을 보면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배당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둘째로 대규모 M&A로 인한 주주환원 재원 감소를 방지하고 주주환원 규모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FCF을 계산할 때 M&A 금액을 차감하지 않기로 했다. 이상훈 사장은 “FCF의 50%를 환원하는 기준은 현재 정책과 동일하지만 M&A 규모만큼 FCF가 더 늘어난다”며 “비율이 같더라도 실제로는 주주 환원 규모가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는 FCF의 50% 환원을 기존 1년에서 3년 단위로 변경해 적용할 계획이다. 이는 매년 잉여현금흐름의 변동 수준에 따라 주주환원 규모가 급격히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배당을 집행한 후 잔여 재원이 발생하면 추가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해 환원할 방침이다. 그러나 65조~70조원의 필요현금 수준 초과분에 대한 현행 특별 주주환원은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자사주 매입·소각 축소…M&A 자금 감소 우려
‘총수 부재’ 상황 속에서 확정된 이번 주주환원 정책이 배당 확대 중심으로 결정되면서,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소각은 현재 수준보다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또 배당 확대로 인해 내년 이후 사업 결과에 따라 M&A 자금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2015~2017년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11조 4000억원 규모의 특별 자사주 매입 및 소각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또 올해는 9조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하고 있다. 2015년부터 3년 간 자사주 매입·소각 20조원 이상이 집행됐다. 또 이와 별도로 지난 4월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의 50%를 소각해 발행주식수는 2015년말 대비 보통주는 12.4%, 우선주는 20.1% 감소했다. 이로 인해 주가(종가 기준)는 2015년 10월 30일 137만 2000원에서 지난 30일 270만 2000원으로 두 배 가량 상승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향후 3년간 주주환원 정책에서는 배당을 집행한 후 재원이 남을 경우에만 추가 배당 또는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진행할 계획이다. 사실상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은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M&A 자금도 기존에는 FCF 계산 시 포함했지만 앞으론 제외돼 주주 배당금이 기업 인수 자금보다 우선집행 될 가능성이 높다.
재계 한 관계자는 “반도체 호황 등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현재 시점 기준에서는 M&A 자금이 충분할 것으로 본다”면서도 “반도체 사업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이전보다 실적이 하락세에 있어 메모리 업황에 따라 미래 성장을 위한 자금이 부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