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무송 한국산업기술대 석좌교수는 23일 국가미래연구원 ‘8월 고용동향은 정책을 바꾸라는 시그널’ 보고서에서 “취업자수 증가는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으며 단기 노인일자리 사업이 전체 취업자 증가에서 차지하는 규모와 비중이 과도하다”고 비판했다.
임 석좌교수는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을 지낸 고용 전문가다. 1988년 공직에 들어선 뒤 약 30년간 고용정책을 다뤘다.
앞서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수는 전년 동월 대비 45만2000명 증가해 2년 5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5세 이상 인구 고용률은 61.4%로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고 실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27만5000명 감소한 85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임 석좌교수는 “정책 효과로 고용회복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긍정적 평가에도 고용지표를 뜯어보면 오히려 고용시장 왜곡과 구조적 취약점이 선명하게 드러난다”고 평가했다.
또 지속 가능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단기 노인일자리 비중이 과도하다고 비판했다. 증가한 취업자 45만2000명 중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이 87%(39만1000명)를 차지했다. 30·40대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9000명, 12만7000명 줄었다.
임 석좌 교수는 “경기부진 상황에서 재정지원 일자리로 고용 위기에 대처하는 것은 불가피하더라도 부가가치 창출과는 거리가 먼 단기 노인 일자리 사업이 전체 취업자 증가에서 차지하는 규모와 비중이 과도하다”고 비판했다.
임 석좌교수는 “현 일자리 문제는 주력 산업의 경쟁력 저하와 신성장동력 부재 같은 구조적인 문제들 때문”이라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한 구조조정과 이 과정에서 ‘아픔이 따르는 파괴적 혁신’을 뒷받침하려면 적극적인 노동시장 프로그램과 고용안전망 효율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년 일자리 사업 예산안을 보면 실업소득과 고용장려금, 직접일자리, 창업지원에 집중되고 직업 훈련과 고용 서비스 비중은 여전히 작게 편성돼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