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이데일리 김윤지 특파원] 중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챗GPT 등 인공지능(AI) 챗봇 열풍이 부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생성형 AI(인공지능) 서비스의 콘텐츠와 관련해 “사회주의 핵심 가치를 구현해야 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중국 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CA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생성형 AI 서비스 관리안 초안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이용해 만들어진 콘텐츠는 국가권력이나 사회주의체제 전복, 국가분열 선동, 민족 단결 저해, 테러리즘 및 극단주의 옹호, 허위 정보, 경제 및 사회 질서를 교란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해서 안 된다.
| 리옌훙 바이두 회장이 어니봇 출시 기념 기자회견에서 어니봇의 성능을 소개하고 있다.(출처=유튜브 중계화면 캡처) |
|
또한 생성형 AI 서비스 제공업체는 알고리즘 설계 및 모델 생성,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종, 민족, 국적, 지역, 연령, 성별 등에 따른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데이터나 플랫폼 등의 장점을 이용한 불공정 경쟁을 해서는 안 된다. 생성형 AI 서비스 업체가 개인 정보, 초상권, 영업 비밀을 불법적으로 취득하거나 공개·사용하는 것 또한 금지된다. 대중에게 생성형 AI 서비스를 공개하기 앞서 해당 업체는 관련 조항에 따른 보안 평가를 실시해 이를 당국에 제출해야 한다.
해당 초안에 대한 의견 수렴은 5월 10일까지 이어진다.
오픈AI의 챗GPT가 인기를 끌면서 다수 중국 업체들이 AI챗봇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지난달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바이두가 AI챗봇 ‘어니봇’을 선보인데 이어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지난 7일 AI챗봇 ‘퉁이 첸원’을 일부 기업 고객에 한해 공개했다. 중국 AI분야 스타트업 센스타임도 최근 AI 챗봇 ‘센스챗’을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판공실의 이번 관리안 초안이 생성형 AI의 폭발적인 성장을 규제하려는 중국 당국의 시도”라면서도 “반도체부터 전기차(EV) 기술까지 미국과 경쟁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어떻게 AI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또 단속할지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안젤라 장 홍콩대 법학과 교수는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판공실의 신속한 대응은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중국 당국의 엄격한 통제를 보여준다”면서도 “기술 혁신 및 발전을 위해 자국 기업을 지나치게 규제하는 것은 피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