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트진로는 앞서 지난 2019년 해외 수제맥주 제조사 ‘브루독’과 유통·판매 계약을 맺고 ‘펑크IPA’ 제품을 전용 펍과 편의점 등에 선보인 바 있다. 하지만 ‘구스아일랜드’, ‘핸드앤몰트’, ‘파타고니아’ 등 이미 다양한 수제맥주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는 AB인베브 코리아(오비맥주)에 비해 사업력이 부족했다.
하이트진로는 그동안 ‘소맥(소주+맥주)’으로 대표되는 일반음식점과 주점 등 업소용(유흥용) 주류시장에 집중해왔기 때문이다. 사업 구조 역시 지난해 매출액 비중 기준 ‘참이슬·진로’ 등 소주(약 58%)와 ‘테라·한맥’ 등 맥주(약 34%) 중심으로 쏠려 있다. 하이트진로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2조2029억원 중 약 92%가 일반 소주와 맥주에서 나온 것이다. 와인 등 수입·기타주류는 약 3%(630억원) 수준에 그친다.
|
가정에서 ‘홈술(집에서 술마시기)’과 ‘혼술(혼자 술마시기)’ 트렌드가 확산하며 와인과 수제맥주, 위스키 등 다양한 취향의 주종 수요가 늘고 있는 변화된 시장 환경 요인도 있다.
실제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실적 부진 속에서도 ‘와인 수입판매’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만 120여종 와인을 대거 출시하면서 현재 11개 국가에서 600여개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수입맥주 중에서는 ‘기린이치방’이 일본 불매운동 여파로 쪼그라든 대신 ‘크로넨버그1664블랑’, ‘파울라너’, 애플사이더 ‘써머스비’ 등 취급 브랜드 확장을 통해 판매량을 회복했다. 하이트진로는 올해 와인과 위스키, 수입·수제맥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투자와 협업을 늘려 제품을 발굴하고 시장 판로를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와 사적 모임·영업 제한으로 주력 제품인 소주와 맥주의 유흥시장 소비 침체 여파가 이어지면서 회사가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