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평촌 자이 아이파크’는 8일 무순위 청약을 받는다. 무순위 청약은 아파트 정당계약 이후 미분양·미계약 물량이나 당첨 취소 물량이 생기면 청약가점에 상관없이 추첨으로 당첨자를 정하는 청약 방식이다.
평촌 자이 아이파크에선 전용면적 39㎡형 41가구가 무순위 청약 물량으로 나온다. 1월 분양했던 동일 면적 153가구 중 26%가 주인을 못 찾았다는 뜻이다. 청약 때만 해도 전용 39㎡에 800명 넘는 사람이 몰렸던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이다.
수도권에서 무순위 청약을 받는 단지는 이곳만이 아니다. 지난달엔 인천 연수구 송도동 ‘송도 자이 더 스타’에서 84가구가 무더기로 무순위 청약을 받았다. 청약 당첨자는 물론 예비 당첨자까지 계약을 잇달아 포기하면서 전체 단지(1583가구)의 5.3%가 무순위 청약 물량으로 나왔다.
분양업계에선 무순위 청약 물량이 쏟아지는 것이 시장 침체 신호로 보고 있다. 청약 시장이 호황일 땐 무순위 청약이 ‘가뭄에 콩 나듯’ 나온다. 다른 지역보다 시장이 뜨거웠던 수도권에선 무순위 청약이 더욱 드물었다. 분양권을 포기하는 사람이 적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순위 청약이 늘어나는 건 ‘묻지 마 청약’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권영선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021년 상반기의 분양시장 호황이 본격 조정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인식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분양 경기 위축에 무순위 청약 7수도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게 주택업계 걱정이다.
무순위 청약이 늘어나자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선 청약 자격을 완화해달라고 국토교통부에 건의하고 있다. 현재는 해당 시·도에 거주하는 무주택자만 무순위 청약을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미계약 물량을 제대로 털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게 지자체들 푸념이다. 다만 국토부는 아직 현행 제도를 유지하겠다며 난색을 드러냈다.
윤지해 부동산 R114 수석연구원은 “‘묻지마식’으로 아무 데나 청약을 넣던 비정상적 시장 상황이 정상화되고 있다. 청약자들이 단지가 미래 가치가 있는지, 분양가는 합리적인지, 입지는 어떤지 따져보고 청약하기 시작했다”며 “건설사들도 회사가 가진 사업장 매력도를 점검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28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02% 떨어져 5주 연속하락세를 이어갔다.